한국경제 돈이 안 돈다…화폐 유통속도 하락률 OECD 1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시중에 풀린 돈이 소비나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이 한국 경제의 고질로 잡아가고 있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에 따르면 2018년도 화폐유통속도는 0.72로 2004년 0.98을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화폐유통속도는 동일한 화폐가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에 평균 몇 번이나 쓰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시중 통화량(M2)으로 나눠 구한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인 M2에는 현금과 각종 예금, 2년 이하 적금 등이 포함된다.

〈한국의 총통화 유통속도 추이〉

자료: 한국은행

자료: 한국은행

화폐유통속도가 낮다는 건 돈이 장기적금 등 금융부문에 머물러 소비나 투자에 쓰이지 않고 경제 활력이 떨어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사람으로 치면 몸(경제)에 피(통화)가 돌지 않아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는 셈이다. 특히 2018년을 기준으로 한국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16개국 가운데 화폐유통속도 하락률이 –3.5%로 가장 컸다. 이어 폴란드·영국·헝가리·일본 순으로 경제 활력이 떨어졌다.

왜 시중에 돈이 돌지 않을까. 한경연은 OECD 국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돈의 회전속도는 그 나라 경제성장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빨라졌다. 한국의 저성장·저물가 상황이 돈 도는 속도를 더욱 느리게 하는 셈이다.

자료가 있는 OECD 16개국의 '총통화/GDP' 통계의 역수를 취한 값. 자료 : 세계은행

자료가 있는 OECD 16개국의 '총통화/GDP' 통계의 역수를 취한 값. 자료 : 세계은행

구체적으론 GDP가 1% 증가하면 화폐유통속도는 1.3%, 물가상승률이 1%포인트 오르면 화폐유통속도는 0.8% 빨라졌다. 또 소득이 증가할수록 현금보다 신용결제를 선호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화폐보유의 수요가 줄어 화폐유통속도를 높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은행 예금 이자율이 높아질 경우 예금보유량이 늘어 총통화가 증가해 유통 속도가 느려졌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 전략실장은 “만성 고혈압이 동맥경화를 심화시켜 건강을 위협하듯 경제 활력 저하로 저성장·저물가가 이어지면 경제 기초체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성장 주체인 기업에 초점을 맞춰서 법인세 부담 완화와 연구개발(R&D) 지원세제 강화, 노동시장 유연화, 규제 혁파 등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