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폐렴'에 온라인도 패닉.... 27일 하루에만 글 6만 5000건

중앙일보

입력

실검 2위에 올랐던 우한 폐렴이 1분 만에 삭제됐다. (가짜)

캐나다 생물학 연구소에서 중국인 연구원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훔쳐 중국 우한시로 보냈다. (가짜)

인천에서 우한 폐렴 사망자가 나왔다 (가짜) 

빅데이터로 본 우한폐렴 패닉

지난 설 연휴 기간 동안 각종 포털사이트와 페이스북, 유튜브 등에서 퍼진 거짓 정보들이다. 거짓뿐 아니라 미확인 정보와 추측도 난무하고 있다.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우한 폐렴) 확진자가 4명으로 늘어나자 온라인 상에선 '우한 패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실제 데이터로 확인된다. 민간 빅데이터분석 기관인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는 28일 '우한 폐렴'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언급된 정보량을 분석한 보고서를 냈다. 대상은 국내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분야. 기간은 국내에서 첫 보도가 나온 지난해 12월 31일부터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월 27일까지였다.

지난해 12월 31일부터 1월 27일까지 우한폐렴 정보량. 1월 20일을 기점으로 정보량이 폭증하고 있다.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지난해 12월 31일부터 1월 27일까지 우한폐렴 정보량. 1월 20일을 기점으로 정보량이 폭증하고 있다.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첫 보도가 나온 12월 31일 언론 보도는 8건(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 기준)으로 "중국 우한서 원인불명의 폐렴 환자 27명이 발생했다"는 내용이었다. 이날 각종 커뮤니티, 블로그 등 다른 채널에서 나온 정보량도 137건에 불과했다. 20일 이전까지만 해도 '우한 폐렴'은 주요 이슈에 끼지 못했다. 1월 1일부터 1월 19일까지 우한 폐렴 관련 보도는 597건(빅카인즈)으로 하루 평균 30여건 정도. 여타 채널의 정보량도 일평균 1000건 내외를 유지했다.

하지만 국내 첫 확진 환자가 나온 1월 20일 이후 온라인 정보량은 급증했다. 이날 하루 언론 보도는 223건으로 늘었고 채널 정보량은 8005건(뉴스 포함)까지 늘었다. 설 연휴동안 정보량은 8배나 뛰었다. 25일 3만 2792건, 26일 3만 8582건, 설 연휴 마지막 날인 27일 하루에만 6만 5112건을 기록했다. 연구소 측은 "우한폐렴에 대한 공포가 온라인을 통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커뮤니티·블로그서 비공식 정보 퍼져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12월 31일 이후 지난 27일까지 채널별 정보량은 뉴스가 8만 6753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커뮤니티(4만 9586건), 카페(3만 2093건), 트위터(2만 9841건), 블로그(2만 8953건), 네이버 지식인(5674건) 순이었다. 정부 발표나 언론의 뉴스 보도보다 비공식 정보가 더 많이 퍼진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도 '우한 폐렴' 정보가 양산됐다. 인스타그램(3010건), 유튜브(2726건), 페이스북(1779건) 등의 정보량은 정부와 공공기관이 발표한 공식정보 839건을 한참 넘어섰다.

설연휴기간 '우한폐렴' 관련 뉴스 채널 정보와 뉴스 외 기타 채널 정보량 비교.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설연휴기간 '우한폐렴' 관련 뉴스 채널 정보와 뉴스 외 기타 채널 정보량 비교.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특히 설 연휴기간(24일~27일) 비공식 정보량은 급증했다. 이 기간 언론 등 뉴스에서 다룬 정보량이 4만 413건인데 반해 뉴스 외 채널의 정보는 11만 7452건으로 3배가량 많았다. 실제로 SNS에서는 "인천에서 코로나 사망자가 나왔다"라는 가짜 뉴스가 다수 공유되고, 중국에서 행인이 길거리에 넘어지거나 의료진이 넘어지는 영상 등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확산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와 포털사이트 카페 등에서 확산되는 가짜 정보 [네이버 카페, 트위터 등 캡처]

소셜네트워크와 포털사이트 카페 등에서 확산되는 가짜 정보 [네이버 카페, 트위터 등 캡처]

정부도 이런 현상을 우려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거짓 정보를 집중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되는 게시물을 '해당정보 삭제' 조치하기로 했다. 방심위는 27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해 사회 혼란을 일으키는 정보는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인터넷 ·포털 기업 등에 모니터링 등 유통방지 활동 강화를 요청했다.

관련기사

정원엽 기자 jung.wonyeob@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