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독 40대 일자리 급감···20년 뒤에도 여전한 'IMF세대의 비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자리 박람회 스케치 사진 (기사내용과 관계 없음). [연합뉴스]

일자리 박람회 스케치 사진 (기사내용과 관계 없음). [연합뉴스]

실업급여 신청을 위해 울산고용센터를 찾은 A씨(42). 그는 외환위기 직전 해인 1996년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고 했다. 취업 한파에 일자리 구하기란 하늘의 별 따기. 겨우 일자리를 구해 기간제를 전전하던 A씨는 최근까지 울산의 한 자동차 부품 공장에서 2년 가까이 비정규직으로 일하다 퇴사했다. A씨는 "전기차 생산을 늘리는 추세여서 최근 고용도 불안해지고 있다"며 "취업한 지 얼마 안 되는 30대나 오래 일하고 숙련된 50대보다 중간에 낀 40대 노동자가 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1997년 외환위기 전후 학창 시절을 보내고 취업의 문을 두드렸던 'IMF(국제통화기금) 세대'인 40대. 20여년이 지난 현재 일자리 상황은 어떨까. 중앙일보는 통계청 고용 통계를 활용해 최근 10년간(10월 기준) 20대에서 60대 이상 세대별 인구와 취업자 증감률을 분석했다.

세대별 인구·취업자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세대별 인구·취업자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40대 인구 1.5%씩 줄 때 취업자는 2.2% 감소 

우선 40대 인구는 지난해와 올해 각각 1.4%, 1.5%씩 줄었다. 그러나 취업자는 두 해 모두 2.2%씩 감소했다. 인구가 감소한 폭보다 취업자가 줄어든 폭이 더 큰 연령대는 40대가 유일하다. 기존 40대 취업자들이 일자리를 잃고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40대 취업자는 최근 10년 이래로 지난 2년 동안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이 때문에 40대 고용률은 2017년 79.8%에서 올해 78.5%로 1.3%포인트 하락했다.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율도 올해 3.6%로 15세 이상 인구 전체의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율(0.2%)보다 크게 높았다.

40대는 가정을 꾸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의 고용 악화는 한 가구의 생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계청은 40대가 취업시장 밖으로 내몰리는 이유에 대해 한창 일할 나이인 이들을 많이 고용하는 제조업 악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한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달 8만1000명(-1.8%) 줄면서 지난해 4월(-6만8000명)부터 19개월 연속 감소세다. 결국 민간 기업의 경영상황이 나아져 고용 여력이 살아나지 않는 한 40대 취업난을 해소하기 힘든 구조다.

'금융위기 세대', '88만원 세대'로 불리는 30대의 고용률은 지난해 75.8%에서 올해 76.2%로 소폭 올랐지만, 이는 일자리가 많아진 덕분이 아니라 취업자 감소 속도보다 인구가 더 빨리 줄어든 탓이 컸다. 특히 30대 중 경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 증감률(26.3%)도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이에 반해 60대 이상 노년층은 올해 인구가 5.2% 증가하는 상황에서 취업자는 9.1% 증가했다. 노년층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10년 이래 최대였다.

세대별 '쉬었음' 인구와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세대별 '쉬었음' 인구와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홍남기 "3040 세대 일자리 감소, 정부도 가장 아파"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11일 기자간담회에서 30·40대 '경제 허리' 세대의 일자리 지표가 나아지지 않는 것을 "정부도 가장 아프게 느끼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40대 취업자 감소와 함께 인구도 줄었다"는 설명도 빼놓지 않았다. 온전히 경기 부진 때문만이 아니라 인구가 자연 감소한 것도 취업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부연 설명이다. 그는 40대 인구보다 취업자가 더 빨리 줄었다는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기재부 1차관 출신인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은 "인구 영향을 받지 않는 40대 고용률이 지난해와 올해 급락한 것은 경제정책 실패가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제조업 등 민간 부문 침체 직격탄, 3040 세대가 맞아" 

30·40대 일자리는 25개월 연속 동반 감소하는 중이다. 전문가들은 '경제 허리'인 3040 세대 일자리 감소는 제조업과 도·소매업 등 민간 부문 침체에 따른 결과로 해석한다. 김동원 전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는 "외환위기·금융위기 등 경제위기 상황이 아닌데도 민간의 경제성장률 기여도가 정부 부문보다 낮은 것은, 민간 부문의 성장 엔진이 멈춰섰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3040 세대가 여기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원인 분석에는 정부도 동의한다. 홍 부총리는 "3040 세대 일자리는 투자와 수출 확대로 민간에서 일자리를 만드는 게 정답"이라고 말했다.

정부 정책은 노인 빈곤 해결에 초점…3040은 소외 

문제는 정부의 일자리·인구 정책은 은퇴를 앞둔 중·장년층 실업과 노인 빈곤 해결에 초점을 맞출 뿐 3040 세대를 위한 대책은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노인 복지주택과 노인 일자리 사업, 50세 이상 퇴직·개인 연금에 세제 지원 등 고령화에 대비한 각종 복지 지출 부담도 갈수록 일자리가 줄어드는 3040 이하 세대가 부담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숙련 인력 은퇴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스마트팩토리'를 확충하면 당장 공장에서 일하는 3040 세대 일자리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도 있다.

김원식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감세를 통해 기업이 투자를 늘리게 해야 민간 부문이 살고 3040 세대 일자리도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