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성 “모병제, 젠더 이슈 해소할 화합형 제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민주당의 내년 총선 공약 중 하나로 검토 중인 모병제에 대해 “징병이 초래하는 군 가산점‧역차별‧병역기피 등 젠더 이슈를 크게 해소할 화합형 제도”라고 밝혔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최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모병제 도입을 검토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사회통합과 정예강군 육성을 위해선 모병제가 답”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어 “많은 이들이 모병제에 드는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울 거라 말하지만 이는 감군과 군 현대화에 따른 운영비용의 감소분을 반영하지 못한 것”이라며 “아울러 징병 때문에 발생하는 학업‧경력 단절로 인한 사회적 기회비용 역시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현재의 징병제는 군 전력의 약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면서 “인구 통계상 내후년부터 연평균 약 7만명의 병력이 부족함에도 병력 50만 유지를 위해 현역판정률을 90%로 올리면 군대에 부적합한 인원이 입대할 가능성이 커지고 전투력 유지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막연히 숫자로 국방을 하겠다는 것은 구시대적인 국방”이라며 “감군과 모병제 도입이 강군을 위한 길임에도 논의조차 하지 않으려는 것은 징병제로 얻게 되는 적폐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는 이기심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의무복무기간을 6개월로 하고 이 중에서 지원을 받아 직업군인으로 전환하는이른바 한국형 모병제에다가 지원 부족분을 여성과 30세 미만의 제대자 등에서 선발하는 방식을 혼용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앞서 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은 모병제를 내년 총선 검토할 뜻을 밝혔지만 당 안팎에서 반대에 직면한 바 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