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축축한 여름철 ‘무좀 주의보’…매니큐어 발톱 건강에 독 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요즘처럼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무좀에 걸리기 쉽고 이미 앓고 있던 무좀이 심해질 수 있다. 무좀의 원인균이 잘 번식해서다.

무좀 환자 7~8월에 집중…심하면 발톱 변형 #“재발 많아 관리 잘 해야, 발 건조 중요”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무좀(발백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73만1560명 중 40%가량은 여름철에 몰렸다. 7월에 14만7053명으로 가장 많았고, 8월(13만1023명)이 뒤를 이었다.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무좀(발백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40%가량은 여름철인 7~8월에 집중됐다. [중앙포토]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무좀(발백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40%가량은 여름철인 7~8월에 집중됐다. [중앙포토]

무좀은 곰팡이의 일종인 피부사상균이 피부의 각질층에 침투해 발생한다. 증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가장 흔하게는 발가락 사이의 피부 균열과 각질이 특징인 지간형이다.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발바닥이나 주변에 물집·딱지를 동반하는 잔물집형, 발바닥 전체에 걸쳐 두꺼운 각질이 형성되는 각화형도 있다. 김범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손·발톱이 건강한 상태에선 잘 휘어지지 않지만 무좀균에 의해 심하면 발톱에도 곰팡이가 자라 발톱 변형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말했다. 간혹 발 냄새가 심하게 나는데 무좀균이 기생하기 시작하면 각질을 분해해 영양소를 얻으며 악취를 동반한 물질을 만들기 때문이다.

무좀과 유사한 증상이라고 해도 무좀이 아닐 수 있다. 이양원 건국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무좀이 의심되는 발바닥 피부의 각질을 긁어내 현미경 검사를 통해 곰팡이를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곰팡이를 발견하는 게 어려울 땐 배양검사를 추가로 한다.

여름철 무좀은 통풍이 잘 안 되는 운동화나 꽉 끼는 가죽구두를 자주 신는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발가락 사이 비좁고 습한 공간에서 무좀균이 잘 자라기 때문이다. 수영장이나 헬스장, 공중목욕탕 등에서도 무좀을 옳을 수 있다. 환경 자체가 습해 균 번식에 좋은 데다 무좀 환자의 무좀균에 감염될 수 있어서다.

무좀의 기본적인 치료는 연고인 국소 항진균제를 하루 두 번 정도 바르는 것이다. 이렇게 해도 잘 낫지 않으면 약을 먹어야 하는데 간 손상이나 위장장애 위험이 있다.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도 자칫 발톱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손질 과정에서 보호막이 사라져 세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데다 비위생적 도구가 원인이 돼 무좀균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중앙포토]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도 자칫 발톱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손질 과정에서 보호막이 사라져 세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데다 비위생적 도구가 원인이 돼 무좀균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중앙포토]

이 교수는 “간 질환을 동반하거나 고지혈증 약물치료를 하는 환자는 장기간 복용 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해 많이 긁은 경우 습진성 피부염이 동반될 수 있는데 병변 부위에 습포와 국소 스테로이드제 도포를 먼저 시행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레이저로 무좀을 치료하기도 한다.

무좀은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서 관리가 중요하다. 대부분 환자가 초기에 일부 증상이 완화됐단 이유로 완치가 된 줄 알고 치료를 중단한다. 그러나 현미경 관찰을 통해 원인균 박멸을 확인해야 한다.

예방법은 발을 청결히 하고 건조하는 것이다. 외출 후엔 발을 깨끗이 씻고 수건으로 완전히 말려야 한다. 습기를 머금기 쉬운 발가락 사이를 잘 건조해야 한다. 꼭 끼는 신발을 피하고 습기 차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신발을 신는 게 좋다. 발에 땀이 많은 사람이라면 여유분의 양말을 가지고 다니며 갈아신는 게 좋다.

여름철 형형색색의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도 자칫 발톱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손질 과정에서 보호막이 사라져 세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어서다. 매니큐어를 지우는 아세톤이 강한 휘발성으로 발톱의 수분과 영양을 취약하게 할 수도 있다. 비위생적 도구가 원인이 돼 무좀균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김범준 교수는 “손톱깎이 같은 손·발톱 관리 도구를 공동 사용하는 과정에서 무좀균이 퍼질 수 있다”며 “소독으로 청결 관리에 신경 써야 하고, 손·발톱이 약하다면 강화제를 써 손상을 최소화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