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 보고관 “北식량지원 환영…정치화 되면 안 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이 2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방한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이 2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방한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21일 “(한국 정부의) 대북 인도적 (식량) 지원 결정을 환영한다”면서 “인도적 지원은 결코 정치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퀸타나 보고관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 인구의 43.4%에 달하는 약 1100만명이 영양부족 상태라는 북한 주재 유엔 상주조정실 통계를 인용, “(북한의) 식량 불안정성은 위험한 수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유엔이 목표한 인도적 지원 모금액의 11.9%밖에 확보되지 못했다고 들었다”면서 더 많은 국가와 단체들이 모금에 참여하기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북측 정부는 국민 식량권과 관련된 정보를 더 많이 제공하고 외부 관계자가 면밀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허용해 공여자의 신뢰를 얻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퀸타나 보고관은 오는 10월 유엔 총회에 제출할 북한인권 보고서 작성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지난 17일부터 이날까지 한국에 머물며 탈북민과 시민사회단체, 정부 관계자 등을 면담했다.

그는 통일부와 외교부 관계자를 만나 “남북협상 과정에서 평화 절차 중요성에 관해 이야기했다”며 “북측 인권문제가 남북협상 프레임워크에 포함돼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비핵화 프로세스의 진전과 과정에도 북측 내 인권은 여전히 가장 우려스러운 사안”이라며 “기본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평화 속에 번영하는 한반도 미래에는 먹구름이 드리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정치범 수용소, 6·25 전쟁 납북 피해자, 일본 등 외국인 납북자 사건, 표현의 자유 박탈, 고문 등 인권침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퀸타나 보고관은 “북측 지도자는 하노이에서 열린 지난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를 논의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면서 “(이제는) 인권을 논의할 준비가 됐다고 말하길 북측에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