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한ㆍ일 이해 부족이 갈등의 원인, 공감대 넓혀야"

중앙일보

입력

위안부 피해자 문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 초계기·레이더 논란 등으로 장기화·구조화 되고 있는 한·일 양국 갈등,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풀어야 할까. 29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4회 제주포럼에서 전문가들이 모여 머리를 맞댔다. 국립외교원이 준비한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역할’ 세션에서다.

악화하는 한·일 관계 해법 #"자신의 잣대로 보면 실망" #"상대 국민 악마화 말아야"

제 14회 제주포럼이 29일 제주도 서귀포시 제주컨벤션센터(ICC)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역활'이란 세션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송화섭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사토 하루코 일본 오사카 대학 특임교수, 이수훈 전 주일대사, 김재신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고문. 우상조 기자

제 14회 제주포럼이 29일 제주도 서귀포시 제주컨벤션센터(ICC)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역활'이란 세션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송화섭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사토 하루코 일본 오사카 대학 특임교수, 이수훈 전 주일대사, 김재신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고문. 우상조 기자

2017년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문재인 정부 첫 주일대사를 지낸 이수훈 전 대사는 자신의 경험을 소개하면서 양국의 관계 악화를 “서로에 대한 정치·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위안부 합의나 징용 판결 등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 사회의 다이내믹한 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 부분을 전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고 말했다.

사토 하루코(佐藤治子) 일본 오사카대 국제공공정책연구과 특임교수는 한국인들 역시 일본 분위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베 정권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그들의 역사관이 부각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본 전체가 단일한 역사관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일본 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한 가운데 양국 간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문가들은 한·일 관계를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바라보며 상호 이해를 넓히는 것을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다. 송화섭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역사 문제는 결국 공감대가 중요한데 한·일 모두 사안을 자신의 잣대로만 보기 때문에 상대의 반응에 실망하고, 이것이 결국 상대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이어진다”고 진단했다. 송 위원은 “한·일 관계의 현안은 외교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이런 문제로 상대 국민을 악마화하지 말아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사토 교수도 “현재의 아베 정권이 끝나게 됐을 때, 주변국과의 역사적인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 입장도 달라질 거라 생각한다”면서 “변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지속적인 교류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수훈 전 대사는 이번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계기로 한국 정부가 대일 관계의 기조를 큰 틀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일본은 징용 문제가 1965년 한일 협정에서 모두 끝났다고 주장하지만, ‘65년 체제’ 하에서 이어져 온 양국 관계는 현재 많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며 “대일 외교를 지금까지처럼 ‘관리’로 갈 것인가 ‘전향적인 재구성’으로 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제주=이영희·이유정 기자 misquick@joongang.co.kr

◆제주포럼

남ㆍ북 정상회담 1주년을 기념해 2001년 6월 ‘제주평화포럼’이란 이름으로 출범했다. 전ㆍ현직 국가 수반, 정치가, 학자 등이 모여 평화와 번영을 주제로 토론을 벌인다. 2011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으로 공식 명칭이 바뀌었다. 격년으로 열리다 2012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1회에 9개국, 350명이었던 참가 규모는 올해엔 78개국ㆍ6400명으로 늘어났다.

참석자 6400(명ㆍ사전등록 기준)
참가국 78
연사 및 토론자 370(명)
세션 수 74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