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일보 도쿄특파원입니다.
- 응원
- 253
- 구독
- 184
총 2,424개
-
관광 회복, 반도체가 땅값 밀어올렸다...日부동산 오름세 확산
19일 일본 국토교통성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전국 땅값은 1년 전보다 1.0% 올랐으며 특히 도쿄(東京)·오사카(大阪)·나고야(名古屋) 등 3대 도시를 제외한 지방권의 땅값도 31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국토교통성의 올해 '기준지가' 조사에서 전국 지가는 코로나19의 영향 아래에 있던 1년 전에 비해 1.0% 올라 2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기준지가란 국토교통성과 전국 지자체가 조사한 전국 기준 지점 2만 1000여 곳의 땅값으로, 민간 토지 거래에 기준 가격으로 활용된다.
-
日인구 10%는 80세 이상 노인...65~69세 절반은 아직 현업
일본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줄어든 것은 비교 가능한 통계가 있는 1950년 이후 73년 만에 처음이다. 80세 이상 인구는 27만 명 증가한 1259만 명(인구의 10.1%)으로, 일본 인구 10명 중 1명이 80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1971~1974년에 태어난 제2차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이 되는 2040년에는 고령자 인구가 392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34.8%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日기시다, 19~21일 방미…북·러회담 계기로 '유엔 개혁' 주장할 듯
북한과 러시아의 접근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무용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기시다 총리는 이번 회의에서 유엔 개혁을 적극 주장할 방침이다.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일본 관방장관은 기시다 총리의 연설 내용에 대해 "국제사회가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안보리 개혁을 비롯해 유엔 기능적 강화를 위한 대처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일본 민영방송 TBS는 이번 유엔총회를 계기로 기시다 총리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양자 회담을 하는 방향으로 조율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
[글로벌 아이] ‘쟈니스’ 사태가 일본에 남긴 것
지난 3월 영국 BBC 방송의 폭로로 드러난 연예기획사 ‘쟈니스(Johnny’s)’의 창업주 고(故) 쟈니 기타가와(ジャニー喜多川·1931~2019) 사장의 성폭력 문제는 이제서야 수습 단계로 들어서는 모양새다. 이미 1999년 주간지 슈칸분슌이 쟈니 사장의 성폭력 문제를 보도해 법정 공방이 벌어졌고, 대법원에서 보도 내용이 사실이란 판결까지 나왔다. 이 문제가 터진 후 "일본 음악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한국 기획사들의 음모"라는 등 말도 안 되는 이야기가 일본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 퍼진 것은 그만큼 위기감이 크다는 방증으로 보인다.
-
일본 기시다, 각료 13명 교체…외무상엔 지한파 가미카와
일본에서 21년 만에 여성 외무상이 탄생했다. 특히 외무상에 가미카와 요코(사진) 전 법무상, 어린이정책 담당상에 가토 아유코 의원, 지방창생담당상에 지미 하나코 의원, 부흥상에 쓰치야 시나코 의원 등 여성 4명을 발탁했다. 가미카와 신임 외무상은 2002년 가와구치 요리코 외무상 이후 21년 만에 나온 여성 외무상이다.
-
日기시다 새 내각, 여성각료 5명 역대 최다…21년만에 女외무상
특히 이번 개각에서 외무상에 가미카와 요코(上川陽子) 전 법무상이, 어린이정책 담당상에 가토 아유코(加藤鮎子) 의원, 지방창생담당상에 지미 하나코(自見英子) 의원, 부흥상에 쓰치야 시나코(土屋品子) 의원이 등용되면서 여성 각료가 기존 2명에서 5명으로 늘어났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번 개각 및 자민당 인사에 대해 "기시다 총리가 내년 가을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경쟁자들을 주요 보직에 묶어 놓는 포석을 뒀다"고 평가했다. 지난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총리와 경쟁했던 고노 디지털상과 다카이치 경제안보담당상도 각료직에 유임돼 기시다 정권에 반기를 들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
트럭·택시·버스 운전할 사람이 없다…日 "외국인 노동자 수용"
일본이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트럭·버스·택시 등 운전 직종에 외국인 노동자를 적극 받아들일 방침이라고 마이니치신문이 12일 보도했다. 노동력이 부족한 산업 분야에 즉시 활용 가능한 외국인을 받아들이는 '특정기능' 비자 대상에 이르면 올해 내 '자동차운송업'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일본은 지난 2019년부터 인력 부족이 심각한 간호나 건설, 항공 등 12개 산업 분야에서 34만 5150명의 외국인을 받아들이는 '특정기능' 비자를 운영해 왔다.
-
"갑작스런 인도 주도 G20 정상선언…'장난하나' 日 당황했다"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첫날인 9일 인도 주도로 갑작스럽게 공동선언문이 채택되면서 일본을 비롯한 참가국 관계자들이 당황해 대응을 서둘러야 했다고 일본 마이니치신문이 11일 보도했다. 이번 공동선언문 채택으로 의장국 인도의 능숙한 외교전략과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남반구를 중심으로 하는 신흥도상국) 국가들의 높아진 위상이 확인됐다고 일본 언론들은 해석했다. 보통 공동선언문은 회의 막바지에 확정되는 경우가 많고, 이번 회의에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문제를 공동선언에 어떻게 담을 것인가를 놓고 논의가 길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
日, 1차 7800톤 오염수 방류 11일 종료…2차는 9월 말 이후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 원자력발전소를 관리하고 있는 도쿄전력이 원전 오염수의 1차 해양 방류를 11일까지 마치고 이르면 9월 말 이후 두 번째 방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IAEA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 처리 후 오염수의 방사선량 ▲ALPS처리 오염수의 유량 ▲오염수 희석에 쓰이는 해수(바닷물)의 방사선량 ▲희석용 해수의 시간당 유입량 ▲희석 후 오염수의 트리튬 농도 ▲수직축으로 분석한 오염수의 방사선량 등 6가지 데이터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방출구 인근에서 잡힌 어류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측정하고 있는 일본 수산청도 5~6일 오염수 방출구 부근 약 4~5㎞ 지점 2곳에서 잡은 광어의 트리튬 농도를 조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이었다고 7일 발표했다.
-
日기시다, 도시락 먹다 中리창 쫓아가…"수산물 수입금지 풀어달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이날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일본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높은 투명성을 갖고 국제사회에 정중하게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이어 "일본은 국제적 의무를 충실하게 이행해야 한다"며 "주변국, 이해 관계자와 (오염수 방류를) 충분히 협의해 책임감 있게 대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 자리에서 리 총리에게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전면 금지 조치를 철폐하라고 요구했으며, 일본 정부의 방류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
日요미우리 "韓정부 징용해법 발표 6개월…한일 관계 극적으로 개선"
지난 3월 한국 정부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에 대한 해법을 발표한 지 6개월 동안 한·일 관계가 극적으로 개선됐다는 평가가 일본에서 나왔다. 6일 요미우리신문은 "한·일 관계가 옛 징용공(일제 강제징용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소송 문제의 해결책을 한국 정부가 발표한 이후 극적으로 개선됐다"고 평가하며 "일본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리더십을 환영하며 관계를 한층 강화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3월 6일 대법원으로부터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일본 기업 대신 한국 정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이 판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
日, 中 '수산물 금수 조치' WTO에 반론...수산업계 9000억 지원
일본 정부가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일본산 수산물 금수 조치를 통보한 데 대한 반론 문서를 5일 WTO에 제출했다고 외무성이 밝혔다. 지지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WTO에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금수 조치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힌 반론 문서를 보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제출한 반론 문서에서 일본이 그동안 오염수 해양 방류의 안전성에 관해 설명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금수 조치를 위한 것은 "전혀 용인할 수 없다"며 "즉시 철폐를 계속 요구해 갈 것"이라고 했다.
-
"日정부 통일교 해산명령 청구 방침"…옴진리교 등에 이어 세 번째
일본 정부가 고액 헌금 등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통일교·이하 가정연합)에 대해 법원에 해산 명령을 청구하기로 방침을 굳혔다고 마이니치신문 등이 4일 보도했다. 지금까지 일본에서 정부에 의해 해산된 종교 법인은 사린 가스 테러를 일으킨 옴진리교, 사기 사건을 벌였던 묘카쿠지(明覚寺) 등 2곳뿐이다. 마이니치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가정연합이 이른바 '영감상법'(靈感商法)이나 고액 헌금 등에 조직적으로 관여했다는 점이 민사 판결 등에서 여러 차례 인정돼, 종교법인법의 해산 명령 요건인 법령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
한국 행사 빠진 윤미향 의원, 친북 총련 주최 추도식 갔다
윤미향(사진) 의원(무소속)이 1일 친북 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가 주최한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100년 도쿄 동포 추도식’에 참석했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윤 의원은 간토 대지진 100주년을 맞은 이날 오후 일본 도쿄 스미다구 요코아미초 공원에서 열린 총련 주최 추도식에 참석했다. 논란이 일자 윤 의원실 관계자는 "간토 대지진 학살 100주기 추도 사업과 관련한 여러 행사가 있어 참석한 것"이라며 "총련이나 총련의 발언 등은 윤 의윈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
윤미향, 친북 단체 총련서 주최한 '간토대지진 추모식' 참석
이에 따라 주일 한국대사관은 윤 의원의 입국 수속을 지원하고 숙소까지 차량을 제공했다. 윤 의원실 관계자는 "입국 후 공항에서 숙소까지 차량을 지원받았다. 참석 취지에 대한 논란이 일자 윤 의원실 관계자는 "간토대지진 학살 100주기 추도 사업 관련한 여러 행사가 있어 요청해 참석한 것"이라며 "총련이나 총련의 발언은 윤 의윈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
슬픈 아리랑 따라불렀다…조선인 학살 추도식, 日정치인 첫 참석
단, 일본 정부가 조선인 학살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듯 일본 정계 인사의 추도사는 없었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이날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일본 정부가 지금이라도 조선인 학살에 대한 사실을 파악하고, 나쁜 일을 한 데 대해서는 정직하게 사과하고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죄송하다"고 말했다. '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의 국가책임을 묻는 모임'의 다나카 마사타카(田中正敬) 사무국장은 이날 행사에서 "(조선인) 학살은 그동안 조사와 연구로 알려진 역사적인 사실"이라며 "도쿄도 지사와 일본 정부는 과거를 직시하고 희생자와 진지하게 마주해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글로벌 아이] ‘오펜하이머’ 그리고 간토대지진
지난 7월 21일 미국에서 동시 개봉한 ‘바비’와 ‘오펜하이머’가 함께 흥행하자 두 영화의 타이틀을 조합한 ‘바벤하이머’란 말이 만들어졌고, 소셜미디어(SNS)엔 두 작품의 이미지를 합친 ‘밈’이 퍼져나갔다. 그 중 바비의 머리에 원폭 이미지를 얹은 합성 사진에 ‘바비’ 제작사인 워너브러더스 공식 계정이 유머러스한 댓글을 남긴 게 문제가 됐다. 지난 5월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때 피해자와 유족들은 조 바이든 대통령에 원폭 투하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겨우 100년 전 일인데 어떻게 부정할 수 있나”
혼란 속에서 정부에 대한 불만이 폭발할 것을 우려한 일본 내각부가 "조선인들이 폭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하라"는 공문을 내려보내며 학살에 불을 붙였다. 그동안 옴진리교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A’, 언론 문제를 다룬 ‘나는 신문기자다’ 등의 사회성 강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왔던 모리 감독은 이번 영화를 위해서도 철저한 자료 조사를 했다. 학살에 일본 정부가 직접 관여했다는 사실도 각종 자료를 통해 확인했지만, 일본 정부는 현재까지도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간토 조선인 학살 영화화한 日감독 "기억 안 하면 또 벌어진다"
간토대지진 당시 학살을 다룬 다큐멘터리는 몇 차례 제작됐지만, 극 영화로 만들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30일 도쿄에서 만난 모리 다쓰야(森達也·67) 감독은 20년 전 우연히 당시 학살에 대한 신문 기사를 보고 영화화를 결심했다. 그동안 옴진리교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A', 언론 문제를 다룬 '나는 신문기자다' 등의 사회성 강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왔던 모리 감독은 이번 영화를 위해서도 철저한 자료 조사를 했다.
-
"바보야" 5분마다 오염수 항의전화…中, 도쿄전력에만 6000통
지난 24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후 도쿄전력과 일본 관공서 등이 몰려드는 중국발 '전화 테러'에 몸살을 앓고 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중국은 법률에 따라 재중 외국인의 안전과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할 것"이라면서도 "국제사회의 반대를 무시하고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일본의 행태에 이웃 국가들과 국제사회가 비판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하고 싶다"며 이번 사태의 원인을 일본으로 돌렸다. 요미우리신문은 29일 "시진핑 정권은 중국의 소셜미디어(SNS)에서 확인되는 일본 정부 비판과 일본 제품 불매 독려를 묵인하고 있다"며 오염수 방류를 외교 카드로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한국, 가난한 노인 심각하다…65세 정년연장 논의 서둘러야" [시니어 고용③]
일본 고령화 문제를 연구하는 김명중 닛세이기초연구소 수석연구원(아시아대 특임교수)은 "한국도 10년 후면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이 만 65세로 늦춰지지만 이에 발맞춘 정년 연장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일본 기업들도 고령자 계속 고용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해 60세 이후에는 기존에 일하던 부서가 아닌 인력이 부족한 곳이나 고령자가 일하기 편한 환경의 부서로 배치하는 방법 등을 활용한다. 한국이 정년 연장이나 고령자 고용 문제를 논의할 때 이런 차이를 고려해 세심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
"60세 이상만 채용, 임금피크 없다"…日기업 정년 없애는 이유 [시니어 고용①]
정년을 65세까지 연장한 기업이 25.5%, 정년을 아예 폐지한 기업은 3.9%이고, 70.6%의 기업은 비용 상의 문제 등으로 계속 고용제를 선택해 노인 인력을 활용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처음에는 비용이 많이 든다며 정년 연장에 반대했던 기업들이 최근엔 노동력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고령자 고용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지평 한국외대 융합일본지역학부 특임교수는 "일부 산업에서는 이미 일손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하지만 한국은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와 고령자 고용 문제를 같이 풀어야 하는 이중의 숙제를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
일본 “원전 앞바다서 삼중수소 미검출”… 중국선 반발 확산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후 바닷물이나 인근 지역 수산물에서 방사성물질인 삼중수소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검사 결과를 연이어 발표하고 있다. 오염수 방류 시작 다음 날인 지난 25일 후쿠시마 원전에서 40㎞ 이내 11개 지점에서 바닷물을 채취해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했는데, 모든 지점에서 검출할 수 있는 하한치인 L당 7∼8베크렐(㏃)을 밑돌았다는 것이다. 방류 기간에 원전 인근에서 매일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한 뒤 방류구 3㎞ 이내 지점에서 L당 700㏃, 이보다 먼 지점에서 L당 30㏃을 각각 초과하는 삼중수소 수치가 확인되면 방류를 중단한다.
-
오염수 반발 中, 日여행 줄취소...日대사관 "中서 일본말 조심"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후 바닷물이나 인근 지역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검사 결과를 연이어 발표하고 있다. 오염수 방류 시작 다음 날인 25일 후쿠시마 원전에서 40㎞ 이내 11개 지점에서 바닷물을 채취해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했는데, 모든 지점에서 검출할 수 있는 하한치인 L당 7∼8베크렐(㏃)을 밑돌았다는 것이다. 방류 기간 동안 원전 인근에서 매일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한 뒤 방류구 3㎞ 이내 지점에서 L당 700㏃, 이보다 먼 지점에서 L당 30㏃을 각각 초과하는 삼중수소 수치가 확인되면 방류를 중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