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전국프리즘

"부산 요트경기장 동네 놀이터 만들 건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부산에는 다른 도시들이 가지고 있지 못한 요트경기장이 있다. 부산이 지닌 바다라는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1986년 아시아경기대회와 88년 서울올림픽의 요트경기대회를 치르기 위해 만든 시설이다. 요트 계류 능력은 육상과 해상을 합쳐 1364척에 이르고, 국제회의실.계측실 등 전체 면적은 23만5000㎡에 달한다.

현재 일부 면적은 영화 촬영 스튜디오와 시네마데크로 활용되고 있고, 부산의 대표적 축제인 부산국제영화제(PIFF)의 개막식이 거행되기도 한다. 하지만 부산영상센터가 완공되면 영화와 관련된 일부 기능들은 축소되거나 이전될 전망이다.

문제는 해양레저자원이자 부산의 대표적 유인시설인 요트경기장의 활용도가 매우 떨어진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곳이 관광특구이자 2005년에는 지역특화발전특구로 선정된 지역임을 생각해 보면 현재의 활용도는 낙제점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국내 상황과 더불어 해외의 사례를 살펴보면 활용도 제고에 대한 절박감을 더욱 느낀다.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준비의 일환으로 칭다오(靑島)에 해양스포츠센터를 건설 중이다. 약 45만㎡의 부지 위에 요트경기 훈련센터, 올림픽선수촌, 국제 호화여객크루즈 부두, 공원, 광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그 외에도 황해의 주요 해변 지역에 이러한 유사시설들을 지속적으로 건립해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겠다는 것이 중국 정부의 주요 전략이다. 이러한 시설들이 완공되고 나면 아마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가까운 일본의 동호인들도 중국을 목적지로 항해를 할 것이다. 특히 중국의 낮은 물가를 비롯한 양호한 관광환경을 고려해 보면 이러한 예상은 결코 틀리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미 여러 가지 면에서 낙후돼 있는 부산 요트경기장의 전면적인 리모델링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긴급히 이뤄져야 할 일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대책을 제안한다. 먼저 현재 운동장 시설로 고시돼 있어 토지이용에 한계가 있으므로 용도변경을 추진하고, 시행규칙에 의거해 시장은 운영과 관리 능력이 인정되는 기관에 위탁을 의뢰한다. 더불어 지역특화발전특구특례법을 활용해 요트계류시설의 민간임대가 가능토록 하고 특히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과 같이 관계되는 법률의 의제 처리가 되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부산 요트경기장이 머지않아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동네 놀이터로 전락하기 전에 기존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고, 해양관광지로서 부산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때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본란은 16개 시.도의 60명 오피니언 리더가 참여한 중앙일보의 '전국열린광장' 제4기 지역위원들의 기고로 만듭니다. 이 글에 대해서는 '전국열린광장' 인터넷 카페(http://cafe.joins.com/openzone)에 의견을 올릴 수 있습니다.

황영우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