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선2035

여자는 말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문현경 기자 중앙일보 기자
문현경 탐사보도팀 기자

문현경 탐사보도팀 기자

문을 열면 “땡그랑” 소리가 나는 종소리처럼 대화의 포문을 “나 때는 말이야”로 여는 이들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다. 두 번의 경제위기와 여덟 번의 올림픽이 지나고, 300원이면 사먹던 아이스크림은 1000원이 되고, 버스카드가 생겨나 휴대폰으로 들어가고, 플로피 디스크가 멸종하고, ‘삼김’ 하면 DJ·YS·JP가 아니라 삼각김밥을 떠올리는 이들이 경제활동인구가 된 걸 보고 있노라면 예전이란 걸 기억 속에라도 붙잡아 보고 싶어진다.

그럴 때면 “나 때는 말이야” 대신 저녁 뉴스를 켜 본다. 그곳엔 도통 변하지 않아 세월이 멈춰버린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이 있다. 남성의 몫으로 생겨난 뉴스 앵커란 자리에 여성도 앉게 된 건 1980년대 말의 일이었는데 당시 저녁 뉴스 남녀 앵커의 나이 차는 18살, 25살이었다. 문제는 숫자가 아니라 나이가 적은 쪽과 많은 쪽의 성별은 언제나 정해져 있었단 건데, 여전히 그렇단 게 또 문제다. 여성 앵커는 10명 중 8명이 30대 이하, 남성 앵커는 10명 중 9명이 40대 이상이란 인권위 자료가 아니라도 매일 저녁 TV만 켜면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사정을 잘 모르는 어느 외국인이 이를 보고 “한국은 남성 평균 수명이 여성보다 10년은 거뜬히 많은 나라군요?”라고 물어오면 뭐라 해야 할까. “한국은 남성이 여성보다 입사 자체가 늦어서예요!” 할까? 하지만 한 취업포털에서 신입사원 평균연령은 남성 29.2세, 여성 27.9세로 1.3살 차이뿐이라고 조사해 놨다. ‘경단녀(경력단절 여성)’ 현상을 반영한 사회 풍자라고 할까? 그렇다고 50대 이상의 여성이 덜 주목받는 시간대의 앵커로 등장하는 것도 아닌데 이것도 안 되겠다.

우리 사회가 ‘일하는 남성’과 ‘일하는 여성’에게서 보고 싶은 게 각각 ‘경험과 노련함’ ‘젊음과 아름다움’이 아니라면 이제 달라질 때도 됐다. 그게 맞는다고 해도 됐다. 앵커(anchor)는 말 그대로 기준점을 찍어 닻을 내리는 자리기에 이 정도 변화는 앞장서도 되지 않나. “나 때는 말이야, 흰머리 난 여자는 앵커를 못했단 말이야…” 라고 말할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다면 나이 먹는 게 즐겁겠다.

문현경 탐사보도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