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득권 고집한 한국학원 연간 28만달러 날아갔다

미주중앙

입력

한국 정부가 남가주 한국학원을 한인사회 공익에 반하는 분규단체로 지정했다. 당장 한국학원 산하 주말 한국학교 12곳에 지원하던 연 25만~28만 달러가 끊기게 됐다.

한국 정부, 분규단체로 지정
12개 주말한국학교 지원 중단

29일 LA총영사관(총영사 김완중)에 따르면 재외동포재단(이사장 한우성)은 남가주 한국학원(이사장 심재문)을 한인사회와 갈등을 빚은 분규단체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재외동포재단은 한국학원 산하 주말 한국학교 12곳(여름캠프 1곳 포함)에 지원하던 연 25만~28만 달러를 중단한다.

LA총영사관 관계자는 "재외동포재단 결정에 따라 해당 내용을 담은 공문을 한국학원 이사회와 각 주말 한국학교에 전달했다"라며 "남가주 한국학원은 지난해 8월부터 한인사회가 염원한 윌셔사립초등학교 부지와 건물 활용 방안을 외면했다. 한국학원 이사회는 더 늦기 전에 한인청소년 교육센터 건립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재외동포재단은 한국학원 이사회가 재외동포 청소년 뿌리교육 지원금을 투명하지 않게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한국학원 이사회는 지원금을 한 번에 받은 뒤 각 주말 한국학교에 배분하는 방식을 취했다.

총영사관 관계자는 "한국학원 산하 주말 한국학교가 개별운영 방식과 회계 투명성을 갖추면 지원금을 재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한국학원 이사회 권한과 역할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통보다.

현재 한인사회와 한국 정부는 폐교한 윌셔사립초등학교 부지와 건물을 주중 한인 청소년 교육센터, 주말 한국학원 산하 한국학교로 운영하자고 7개월째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학원 이사회는 청소년 교육센터 건립 시 소유권과 주요 의사결정 권한을 요구하며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는 모습이다.

한인 인사들은 한국학원 이사회 쇄신 등을 요구하고 있다. 만성 재정적자에 시달린 책임을 지고 현 이사진이 모두 사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일부 인사는 한국학원 부실운영 책임을 묻는 캘리포니아 검찰 고발도 예고했다.

한편 남가주 한국학원 이사회는 고문 변호사 선임 등 기득권 유지에 안간힘을 쏟는 모습이다. 한국 정부 지원금 중단으로 산하 주말 한국학교 운영은 큰 타격을 받게 됐다. 지난해 12곳 한국학교에는 청소년 1600명 이상이 등록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