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 시의원 부지사 → 도의원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의원이 시의원으로, 부지사가 도의원으로, 서울의 고위 행정직 출신이 군수로, 전문직업인이 도의원으로….

16일 5.31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가운데 '중앙의 고위.전문직'들이 '지방자치의 현장'으로 소신 있게 이동 출마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광역 시.도의원과 기초 시.군.구의원에게 올해부터 현실화된 급여가 지급되는 것이 이런 추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지방자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중앙의 국회의원'보다 '지방의 군수.시장.구청장'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의식이 확산되고 있는 점도 작용했다.

제주도에서는 정무부지사를 지낸 김승석(57) 변호사와 예비역 육군 준장인 김행담(60)씨가 도의원에 출사표를 던졌다. 서울 종로구의원에 출마하는 조우철(62) 상명대 겸임교수는 1급 공무원 출신이다. 강원도 원주에서는 도의원을 지낸 이길원(60)씨가 한 단계 낮춰 지방 시의원에 출마한다. 경북 영주시장에 출마하는 박시균 후보는 15, 16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에 나서는 전갑길 후보도 16대 국회의원이었다.

경북 의성군수에 도전하는 김주수(54) 후보는 농림행정 분야에서 28년간 일한 농림부 차관 출신이다. 부산 수영구청장을 두 번이나 지낸 류재중(50) 후보는 부산시의원에 출마하고 제주지방병무청장(4급)을 지낸 우청택(61)씨는 대구 남구 구의원에 도전한다.

충남대 육동일(자치행정학) 교수는 "미국.프랑스 등 지방자치 선진국에서는 중앙정부나 대기업에서 고위직을 지낸 인사가 출신 지역의 발전을 위해 봉사하는 경우가 많다"며 "풍부한 경륜을 지역민을 위해 활용하고 지방에서도 중앙 행정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경희대 김민전(정치학) 교수는 "주민들의 생활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데는 중앙정부보다 지방에서 할 일이 많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우수한 자원들이 풀뿌리 민주주의의 현장으로 몰리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신준봉.남궁욱 기자

6863명 중 724명이 전과 기록

16일 선관위 등록 절차를 마친 후보자 6863명 중 전과자는 10명 중 한 명꼴인 724명(10.5%)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전과 3범 이상의 후보자는 38명이며 전과 14범도 포함돼 있었다. 또 지난 5년간 세금을 전혀 내지 않은 후보도 124명이었으며, 체납자는 114명이었다. 병역 미필자는 858명으로 병역기록 미제출자, 여성, 병역 비대상자를 제외한 6457명의 13.3%였다. 특히 병역미필자이면서, 전과가 있고, 체납했거나 납세액이 0원인 '3관왕' 후보도 26명으로 확인됐다. 전주시 기초의원 선거에 등록한 모 후보는 군 복무를 하지 않았고, 체납액은 1500여만원이었으며, 전과는 2범으로 신고했다. 이날 오후 10시 30분 현재 접수시킨 사람은 9063명으로 이 중 선관위의 등록 심사를 마친 후보자가 6863명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