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동시행동땐 비핵화 조치"···김정은, 종전선언 요구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비핵화 과정에 대한 미국의 ‘동시행동’을 요구했다. 자신이 취한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 동창리 미사일 실험장 폐쇄 조치에 상응해 종전선언이나 대북제재 부분적 해제가 이뤄져야만 비핵화 프로세스에 응할 수 있다는 의미다.

문재인 대통령의 특별사절단 단장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5일 북한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나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특별사절단 단장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5일 북한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나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5일 김 위원장을 접견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6일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비핵화 조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가 인색한 데 어려움을 토로했다”며 “북한은 동시행동과 원칙이 준수된다면 더 적극적인 비핵화 조치들을 취할 용의와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특사단에게 “비핵화 결정에 대한 나의 판단이 옳았다고 느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며 비핵화와 관련한 자신의 메시지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해줄 것을 요청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5일 평양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북한 노동당 본청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났다. 정 의장이 접견실을 나서며 김 위원장과 귓속말을 나누고 있다. 이날 면담에 김여정 당 제1 부부장은 보이지 않았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5일 평양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북한 노동당 본청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났다. 정 의장이 접견실을 나서며 김 위원장과 귓속말을 나누고 있다. 이날 면담에 김여정 당 제1 부부장은 보이지 않았다. [사진 청와대]

정 실장은 김 위원장의 메시지 내용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선(先) 종전선언 채택 요구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특사단에게 “한ㆍ미 동맹이 약화한다거나 주한미군이 철수해야 한다는 것은 종전선언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고 정 실장이 전했다.
이와관련 정 실장은 “종전선언은 이미 4ㆍ27 남북정상회담에서 올해 안에 실현하기로 합의했다”며 “정부는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이고, 관련국 간의 신뢰를 쌓기 위한 첫 단계로 생각하고 있고, 북한도 우리 판단에 공감한다”고 덧붙였다.
또 정 실장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에 북ㆍ미 간의 70년 간의 적대 역사를 청산하고 북ㆍ미 관계를 개선해 나가면서 비핵화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별도 브리핑에서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며 “2020년 11월이 미국 대선이니,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2년 남짓 남았다. 첫 임기 안에 비핵화를 실행한다는 것은 평화협정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김 위원장의 입장은 지난달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월27일 김정은과의 만남에서 1년내 북한 비핵화를 제안했고, 김정은이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던 것과는 달라진 내용이어서 논란이 될 수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악수하고 있다. [중앙포토]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악수하고 있다. [중앙포토]

한편 남북은 오는 18~20일 2박 3일 일정으로 평양에서 제3차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다음주에 판문점에서 실무 회담이 열린다. 정 실장은 “정상회담에서 판문점선언 이행 성과 점검 및 향후 추진방향을 확인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그동안 “북ㆍ미간의 문제”라며 선을 그어왔던 비핵화 문제가 정상회담의 정식 의제로 올라간 것이다.
반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 및 공동번영을 위한 문제”로 통칭되긴 했지만 비핵화 진전을 바탕으로 논의하려던 남북 경제협력 등은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렸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