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BMW 발화원인 정밀분석 본격화…민간 전문가 포함 검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원인을 알 수 없는 차량 화재로 리콜 조치가 내려진 BMW 차량에 대해 정부가 정밀 분석에 본격 착수한다.

정부는 보다 투명한 분석을 위해 산하 연구원뿐 아니라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민관 합동 조사팀을 꾸려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5일 국토교통부는 BMW 측으로부터 엔진 화재와 관련한 기술분석 자료를 제출받았으며, 앞으로 본격적인 분석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BMW로부터 4일 자정 기술자료를 제출받아 내용을 보고 있다”며 “일단 이 자료를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전문가들이 분석하면서 추가 요구 자료가 있는지 검토하고 앞으로 조사 방식도 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원래 고장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자동차안전연구원 소임이지만 이번에는 사안이 중대한 만큼 국민이 결과에 납득할 수 있도록 민간 전문가를 적극 참여시킬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화재 원인 분석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계 등 민간 전문가에 가급적 모두 참가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울러 BMW 측이 제출한 기술자료 중 영업기밀에 속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민간 전문가에 제공해 의견을 청취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4일 오후 2시 15분께 목포시 옥암동 한 대형마트 인근 도로에서 주행 중인 2014년식 BMW 520d 승용차 엔진룸에 불이 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전남 목포소방서 제공=연합뉴스]

4일 오후 2시 15분께 목포시 옥암동 한 대형마트 인근 도로에서 주행 중인 2014년식 BMW 520d 승용차 엔진룸에 불이 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전남 목포소방서 제공=연합뉴스]

BMW가 제출한 자료는 이번 차량 엔진 화재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 고장으로 발생했다는 내용이다.

엔진에 장착된 EGR 결함으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기다기관에 유입돼 구멍을 발생시키고 위에 장착된 엔진 커버 등에 발화돼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원점부터 다시 정밀 조사를 벌임으로써 BMW의 정확한 화재 원인을 찾아낼 방침이다.

BMW 측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하고 화재 차량 분석과 제작결함신청위 심의, 제작사 의견청취 등을 거치게 된다.

현재 EGR 결함 외에 제어 소프트웨어 결함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흡기다기관의 내열성 문제 등 다른 이유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BMW의 가솔린 엔진 차량에서도 화재가 잇따른 것으로 알려지면서 엔진 화재가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다른 이유 때문일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BMW는 현재 리콜 대상으로 분류된 42개 차종, 10만6000대에 대해 긴급안전진단을 벌이고 있다.

3일 오후 3시 기준으로 긴급 안전진단을 마친 BMW 차량은 1만5337대이며 예약 대기 중인 차량은 3만6606대다.

하지만 목포에서 화재가 발생한 BMW 차량도 이미 안전진단을 받은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안전진단의 신뢰도에도 의구심이 드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앞서 국토부는 사태가 확산하자 3일 김현미 장관 명의로 BMW 차량 운행 자제를 당부하는 담화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운행을 아예 강제로 중단시킬 법적 근거는 없어 국토부로선 차량 소유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바랄 뿐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계속 BMW 측과 접촉하면서 렌터카 제공 등을 차질 없이 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며 “차량 운행 중단 등은 법적 근거도 없고 부작용도 있을 수 있어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