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행 북한 선박 크게 줄어…반면 러시아 운항 증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종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주요 내용. 북한의 '해운 네트워크' 차단. 제재 대상이거나 북한 불법활동에 연루 의심되는 선박 입항 금지.

최종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주요 내용. 북한의 '해운 네트워크' 차단. 제재 대상이거나 북한 불법활동에 연루 의심되는 선박 입항 금지.

 올해 상반기 중국으로 향하는 북한 선박이 크게 줄어든 반면, 러시아행 북한 선박은 크게 늘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VOA가 확인한 아태지역 항만국 통제위원회(도쿄 MOU)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안전 검사를 받은 북한 선박은 65척(1월1일~7월11일)이었다. 지난해 동기(161척) 대비 약 60% 가량 줄었다.

 VOA는 “통제위원회 회원국들은 자국에 입항한 선박 일부를 대상으로 안전 검사를 실시한다. 이 검사를 받은 선박이 줄었다는 건 해당 국가 선박들의 전체 운항 횟수가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앞서 북한 선박들은 2016년도 상반기에 145척이 검사를 받았으며, 2015년과 2014년 상반기엔 각 143척과 161척이 검사를 받았다고 VOA는 전했다.

 눈에 띄는 사실은 중국행 선박은 숫자가 줄어든 반면, 러시아행 북한 선박은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러시아에서 총 44척의 북한 선박이 검사를 받았다. 반면 중국에서 검사 받은 선박은 21척에 불과했다.
 VOA는 “과거 북한 선박들은 중국에서 가장 많이 검사를 받았다. 그런데 지난해 하반기 들어 러시아가 중국을 역전한 뒤로 이런 패턴이 굳혀졌다”고 전했다.

 이처럼 러시아행 북한 선박이 늘어난 건 UN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제재 결의안을 통해 북한산 석탄 수출을 금지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VOA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북한 선박은 중국 르자오·웨이하이·칭다오 등 주요 석탄 항구 10곳에서 안전검사를 받았다. 그러나 올해 북한 선박은 롄윈강·옌타이·다이롄항 등 총 3곳에서만 안전 검사를 받았다. 이와 관련해 VOA는 “선박을 통한 북한산 석탄 수출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추측해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