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협회 "네이버, 매번 회피전략 일관…아웃링크 법제화 필요"

중앙일보

입력

네이버 한성숙 대표이사가 지난달 9일 오전 서울 역삼동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뉴스 댓글 논란 관련 발표문을 읽고 있다. 장진영 기자

네이버 한성숙 대표이사가 지난달 9일 오전 서울 역삼동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뉴스 댓글 논란 관련 발표문을 읽고 있다. 장진영 기자

 한국신문협회가 4일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회에 "포털 뉴스 서비스를 아웃링크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의견서를 전달했다. '아웃링크'는 포털의 뉴스 서비스에서 기사 클릭시 언론사 홈페이지로 이동해서 보는 방식이다.

해당 의견서에서 신문협회는 "아웃링크는 언론과 포털간 합의에 의해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지만, 그간 포털의 행태와 시장 구조를 살필 때 자율적 관행 변경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신문협회는 이어 "포털의 뉴스서비스문제는 10여년 전부터 제기돼온 것으로, 포털은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협의를 통해 해결하겠다' 등의 회피 전략으로 일관했다"며 "아웃링크 전환은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셈법에 빠져 건강한 온라인 뉴스 유통 생태계 문제는 철저히 외면했고 그 결과 뉴스의 편파성, 획일성, 댓글조작 등 폐해에 이르게 됐다"고 비판했다.

자료=영국 로이터 연구소 '2017 디지털 뉴스 리포트'. 세계 36개국 조사 결과

자료=영국 로이터 연구소 '2017 디지털 뉴스 리포트'. 세계 36개국 조사 결과

신문협회는 포털의 아웃링크 뉴스 서비스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 공론장의 건강성 회복과 여론 다양성을 꼽았다. 신문협회는 "포털은 '이용자 편의성'을 이유로 현행 방식을 고수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전 국민의 70% 이상이 네이버라는 플랫폼의 똑같은 화면에서 동일한 뉴스를 소비하는 획일성·단편성에 대해선 고려되고 있지 않다"며 "특히 포털은 '정치적 중립성'을 내세우기 위해 속보 위주의 통신사 기사를 내세우고 심층성을 갖춘 언론사의 뉴스 노출을 차단해 저널리즘 전반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웃링크로 전환할 경우 미디어간 경쟁도 노출경쟁이 아니라 심층, 기획, 탐사보도 등 '콘텐트 경쟁'으로 전환이 가능해질 것이다"고 밝혔다. 아울러 "독자 특성별 맞춤 뉴스 등 차별화, 고도화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돼 디지털 시장에서도 저널리즘 가치가 구현될 수 있는 기초 토양이 마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좋은 기사' 쓰는 게 손해인 포털 뉴스 서비스

현재 포털의 뉴스 서비스 하에서는 뉴스 생산을 위해 공을 들이면 들일수록, 즉 '좋은 기사'를 쓰면 쓸수록 불리한 구조다. 취재에 공들인 기사와 간단히 타사 기사를 베껴 쓴 '복붙 기사' 등을 포털의 뉴스 서비스가 구별해내지 못하고 그저 다른 기사와 똑같은 1/n로 취급되기 때문이다. 포털 뉴스 서비스 하에서 적은 인력으로 타사 기사를 베끼거나 자극적인 기사를 써서 이목을 끌려는 영세 인터넷 언론사가 많은 이유다. 아웃링크제가 도입될 경우 언론사 홈페이지로 유입된 이용자들을 잡아두기 위해 언론사들이 양질의 기사를 생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란 게 신문협회의 주장이다.

다만 신문협회는 지금 당장 아웃링크로 전환하는 것보다 일정 기간 유예기간을 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신문협회는 "이용자들이 약 15여년 동안 네이버나 카카오의 온라인 뉴스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어 일거에 아웃링크로 방식을 변경할 경우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 뉴스' 사라진 포털 뉴스

한편 최근에는 네이버 뉴스 서비스에 대한 지역 언론사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박상일 경인일보 디지털뉴스부장은 지난 1일 기자협회보와의 인터뷰에서 "네이버 모바일 메인에선 지역 뉴스를 볼 수가 없다. 네이버 의존으로 이미 언론 시장이 심하게 왜곡돼 있지만 그 안에서도 지역 언론은 더 큰 차별과 소외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기자협회보 6월 1일자 “네이버 모바일 메인에 왜 지역 언론사 뉴스는 안 떠요?”) 이와 관련해 신문협회는 "지역주민의 정보복지 제고, 지역저널리즘 복원, 풀뿌리 민주주의의 확산을 위해 신뢰받는 지역 언론사의 지역뉴스가 해당 지역주민에게 노출되도록 위치기반 기술을 활용한 지역뉴스 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