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 사회 체질 바꿔”…서울대 등 전국 44개 대학 지지

중앙일보

입력

미투(#Me Too), 위드유(#With You) 해시태그가 적힌 피켓. [사진 연합뉴스]

미투(#Me Too), 위드유(#With You) 해시태그가 적힌 피켓. [사진 연합뉴스]

서울대를 비롯해 전국 44개 대학의 여성 교수들이 미투 운동에 대해 공개 지지 의사를 밝혔다.

18일 서울대 등 전국 44개 대학의 여교수회는 ‘미투(Me Too)는 우리 사회 구조와 체질을 바꾸는 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제목의 선언문을 내놨다. 이번 선언문은 서울대 여교수회가 발의했다. 여기에 강원대·건국대(글로벌캠퍼스)·고려대·충남대 등 국·공립대뿐 아니라 전국 수십개 사립대 여교수회가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전화숙 서울대 여교수회장은 “국내 대학의 평교수 조직이 수평적으로 연대해 특정 사회 운동에 대한 지지 선언문을 공동으로 발표한 것은 실질적으로 처음 있는 일”이라며 “단 며칠만에 44개 학교가 동참했다는 것은 미투 운동에 대해 이미 깊은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여교수들은 선언문을 통해 “한국 사회에 묻혀 있었던 성폭력, 성희롱, 성차별의 문제가 미투 운동을 통해 겉으로 드러나게 됐다. 현재의 미투 운동이 사회 전반을 개혁하는 운동으로 진화해 간다면 한국 사회의 성장을 위한 값진 기회”라고 주장했다.

서울대 등 전국 44개 대학의 여교수회가 발표한 미투 지지 선언문. [사진 서울대]

서울대 등 전국 44개 대학의 여교수회가 발표한 미투 지지 선언문. [사진 서울대]

이들은 “쏟아져 나오는 미투(#Me Too), 위드유(#With you) 목소리는 오랫동안 누적된 성차별과 일상화된 여성 비하라는 구조적 문제를 표출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노동문화·조직문화의 후진성, 구성원 간 상호 존중의 부재, 권력의 오남용 등은 서로 연관된 미투 운동의 본질적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현재의 운동이 폭로나 고발에 그치지 않아야 하며 정파적 대립으로 인해 운동의 의미가 왜곡돼 해석되지 않기를 바란다. 성별 간 대립으로 오해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현재의 미투 운동이 우리 사회의 구조와 체질을 바꾸는 시발점이 돼 본질적인 변화의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도 및 문화 개선을 위해 차분하고 합리적인 논의가 일어날 것을 기대한다’며 ‘정부는 이 기회를 지속 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정책으로 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한대 기자 cho.hand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