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빗물 거래제 도입 … 공장·농가 등 빗물 저금통 설치 유도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

“빗물이 곧 ‘돈’이라는 생각을 가지면 그대로 흘려보낼 수 있겠습니까?”

‘빗물 박사’ 한무영 서울대 교수

‘빗물 박사’로 불리는 한무영(62·사진)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한국을 ‘물 부족 국가’가 아니라 ‘물 관리 부실 국가’라고 꼬집었다. 빗물을 수자원으로 보지 않는 것은 물론 몸에 좋지 않다는 인식 때문에 가뭄 때마다 물 부족에 시달린다는 지적이다.

한 교수는 빗물에 관한 책만 11권을 쓴 빗물 관리 전문가다. 그는 자신의 저서 『빗물과 당신』에서 “수돗물도 사실은 빗물을 받아 모은 것이다. 상수도는 ‘중앙집중식’이고 빗물이용시설은 ‘분산식’인 셈”이라며 “섬 같은 곳에서 빗물을 재활용하지 않고 상수도 시설을 연결해 쓰는 것은 어리석다”고 비판했다. 그가 펴낸 책들이 일관적으로 지적하는 문제다.

관련기사

한 교수는 “과거 국토교통부 조사를 보면, 우리나라에 떨어지는 연간 빗물 총량 1276억t 중 545억t은 대기로 증발하고 나머지 731억t은 땅으로 스며들거나 강과 바다로 흘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우리가 사용하게 되는 물의 양은 이 가운데 331억t(25.9%) 정도”라고 밝혔다.

또 물부족 현상에 대해 “앞으로 30년 뒤 30억t 정도의 물이 부족할 것이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에 내리는 빗물 총량의 2~3% 수준이어서 ‘빗물 저금통’과 같은 빗물 재활용 시설만 일반화된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빗물이용시설을 가능한 모든 곳에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대규모 건물은 물론 넓은 지붕을 가진 비닐하우스·공장·축사·산 등 모든 곳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며 “모아둔 빗물을 민간 시설에서 청소나 조경에 사용할 수 있고 소방용수로도 쓸 수 있다”고 했다.

한 교수는 ‘빗물 거래제도’ 도입을 통해 민간의 빗물이용시설 설치를 끌어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공장이나 농가에서 모아둔 빗물을 지자체에서 구입해 사용할 수 있게 거래제도를 도입하면 민간에서도 알아서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할 것”이라며 “민간에서는 버려지는 빗물을 팔아 이익을 낼 수 있고 지자체에서는 수돗물보다 저렴한 값에 용수를 구할 수 있으니 서로 윈윈하게 된다”고 말했다.

김정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