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월드, 준비 안된 무료개장 … 용역 경비원들에게 별도 안전교육 안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사고 경위를 수사 중인 서울 송파경찰서는 "참고인 조사 과정에서 직원들이 이같이 진술하고 있어 사실 관계를 파악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롯데월드 외곽 경비를 맡고 있는 용역 경비원들은 이날 "행사 전날인 25일 저녁 무료 개장 사실을 들었으며, 별도의 안전교육은 없었다"고 진술했다.

롯데월드 직원 A씨(42)는 "지난 목요일(23일) 저녁 무료 개장한다는 얘기가 떠돌았다"며 "사고 당일 출근해 보니 이미 아수라장이 돼 있었다"고 말했다.

롯데월드의 한 고위 관계자는 "20일 임원회의에서 결정됐기 때문에 관례상 21일(화요일)께 직원들에게 공고됐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경찰은 이날 지원부문장 노모 상무를 비롯해 영업부문장(이사).경영기획부문장(이사) 등 롯데월드 각 부문 책임자와 행사를 기획한 직원 등 10명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했다. 경찰 관계자는 "안전사고를 예견할 수 있었는데도 행사를 강행하면서 안전요원을 충분히 배치하지 않은 경위와 경찰.소방 지원을 요청하지 않은 점 등을 집중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잇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자 일부 네티즌들은 롯데월드에 대해 집단행동에 나설 조짐이다.

한 포털 사이트에선 무료 개방을 규탄하는 1만 명 서명운동이 시작됐으며 일부 네티즌은 '롯데월드 안 가기 캠페인'을 하자고 제안했다.

롯데제품 불매운동 카페, 안티롯데월드 카페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롯데월드 관계자는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이번 사고의 부상자들을 찾아다니며 위문하고 있다"며 "별도의 보상금 지급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부상자들의 치료비 전액을 부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안전사고는 지난해 10월 80여 명의 사상자를 낸 '상주 참사'의 부실한 후속대책이 한 원인이 됐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지난해 정부가 상주 공연장 압사 사고가 나자 재해 대처 기준 강화를 추진했으나 롯데월드와 같은 대형 놀이공원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음은 물론이고 관련법은 국회 통과조차 되지 않은 상태다.

김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