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4000만원 일자리 확대” 광주 노·사·민·정 결의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윤장현 시장

윤장현 시장

‘광주형 일자리’가 한 걸음 더 나아갔다. 광주 지역 노·사·민·정이 광주형 일자리 실현을 위해 손을 맞잡은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 관련 단체 27명 참여 #적정 임금으로 기업 유치 목표 #기아차 속한 민주노총 참여 설득 중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7일 오후 광주시청에서 열린 본회의를 통해 ‘빛그린산단 내 광주형 일자리 선도모델 실현을 위한 노사민정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 노사민정협의회에는 광주시와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광주 경영자총협회, 지역 노동청과 교육청 등 일자리 관련 단체·기관에서 27명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를 현실화 시키기 위해 노조와 사용자, 정부와 기관 등이 힘을 하나로 모으겠다는 뜻을 재확인한 것이다. 광주시가 공을 들이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의 핵심은 지역에 자리한 기존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 임금보다 낮은 연봉 4000만원 수준의 적정 임금을 실현해 생산시설을 유치하고, 일자리를 대거 늘리는 것이다. 광주 기아차 공장의 정규직 평균 임금은 1억원 수준이다. 일단 광주형 일자리를 통한 기업 유치가 이뤄지면, 광주시는 이후 급격한 임금 상승을 막고 임금 차이로 인한 생활 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교육·복지·의료·주거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일자리 창출과 적정임금 유지가 시의 노력만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지적이 많다. 핵심적인 과제는 기존 노조의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국내에서 가장 큰 현대·기아차가 광주형 일자리 정책을 믿고 광주에 새 생산시설을 짓는다고 해도, 인근 기아차 노조가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등을 내세워 반발할 경우 광주시가 말하는 적정 임금을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다. 만약 급격한 임금 상승을 막을 장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기업 입장에선 투자를 결정하기 쉽지 않다. 광주형 일자리 자체가 ‘사회적 대타협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모델’로 불리는 것도, 노조를 포함한 관련 이해 관계자들의 협조 없이는 애초에 실현이 불가능한 정책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기존 노조를 설득하는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노총이 참여한 이번 결의문 채택은 광주시가 그동안 해 온 노력의 중간 결과물이다. 광주시는 향후 기아차나 금호타이어 노조 등이 속한 민주노총의 협조를 구하는데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윤장현 시장은 “이미 지난해 9월 열린 광주형 일자리 성공 기원 행사에 기아차 노조 등 민주노총 산하 노조도 개별 사업장 단위로 참여해 지지 의사를 밝힌바 있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문재인 정부 역시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기대와 지지 의사를 수차례 밝힌 바 있다. 또 광주시는 기존 노조와의 타협이 진척되고 있는 만큼 조만간 대규모 기업 투자 유치라는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호만 있을 뿐 실체가 없다’는 비판을 불식시킬 자신이 있다는 것이다.

윤 시장은 지난 1월 국내 대기업 친환경차 생산설비의 광주 유치와 관련해 “7~8부 능선은 넘은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엔 글로벌 의료기업인 미국 메드라인이 3억 달러(약 3500억원)를 투자해 광주 빛그린산단에 의료용품 생산 공장을 짓기로 했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