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김정은 면담때 거의 모든 내용 나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7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방북 특사단이 만나는 자리에서 특사단이 돌아와 발표했던 6개 항목의 거의 모든 내용이 나왔다”고 밝혔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으로 하는 특사단은 지난 6일 ▶남북 정상회담 개최 ▶체제 안정 보장되면 북한 비핵화 의향 ▶대화 기간중 핵ㆍ미사일 시험 중단 등 6개 항목의 방북 결과를 발표했다. 따라서 이 발표 내용은 사실상 김정은 본인의 결정이 담겼음을 뜻한다. 특사단은 방북 당일인 지난 5일 김정은을 만났던 만큼 김정은은 시간을 끌지 않고 의중을 알렸다는 점도 보여준다. .

문재인 대통령의 특별사절단 수석으로 방북한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이 지난 5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 문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특별사절단 수석으로 방북한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이 지난 5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 문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 청와대]

이 관계자는 “김 위원장을 처음 접한 특사단은 김 위원장에 대해 ‘솔직하고 대담하더라’고 말했다”고도 전했다. 조선중앙TV가 공개한 특사단 접견 동영상엔 김정은이 활짝 웃는 장면도 포함됐다. 이 관계자는 6개 항목에 대해 “특사단이 북측에 발표 여부에 대한 의사를 묻고 북측으로부터 포괄적인 인정을 받은 것”이라며 “국가 간의 신의와 무게감이 실려 있고 북한이 인정한 항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가 판단하기에 북ㆍ미회담의 전제 조건이 성립한다고 봤다”며 “미국은 그간 대화를 위해선 비핵화라는 말이 필요하다고 해왔는데 북한이 그에 대해 답을 준 것”이라고도 말했다.

북한을 방문 중인 정의용 수석 대북특사 등 특사단이 지난 5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수석특사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정은 위원장, 서훈 국정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사진 청와대]

북한을 방문 중인 정의용 수석 대북특사 등 특사단이 지난 5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수석특사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정은 위원장, 서훈 국정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사진 청와대]

청와대는 지난 5일 김정은과의 만남에서 남북 합의가 대거 이뤄졌음을 알렸지만 그 이전에 이미 남북 조율이 구체적으로 진행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전 조율 없이는 속전속결로 합의가 나오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특사로 내려왔던 데다 뒤이어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이 내려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과 릴레이로 만나며 남북은 이미 공개ㆍ비공개 접촉을 했다. 대북 전문가들은 “이미 이 단계에서 정상회담 등 대부분의 현안에 대한 큰 틀의 합의가 이뤄졌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북한을 방문 중인 정의용 수석 대북특사 등 특사단이 지난 5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면담하고 있다. 북측에서는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등이 배석했다. [사진 청와대]

북한을 방문 중인 정의용 수석 대북특사 등 특사단이 지난 5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면담하고 있다. 북측에서는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등이 배석했다. [사진 청와대]

특사단이 발표했던 남북 정상회담이나 북한의 비핵화 의향 등을 북한 매체들이 구체저으로 발표하지 않는 점도 의문을 부른다. 정상회담은 과거 남북이 동시에 발표했다. 하지만 이번에 북한은 지난 6일 오전 “수뇌회담에 합의했다”고만 전한 뒤 당일 오후에  “(김정은이 특사단과) 중대하고도 예민한 문제들에 대해 허심탄회한 담화를 나누었다”고 보도한 정도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특사단의 발표문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아니면 결심할 수 없는, 북한 내부적으로도 충격적인 내용이 들어가 있다”며 “아무리 김정은의 결심이 법보다 위에 있는 북한이라도 갑자기 비핵화를 공개 거론할 경우 군부나 주민들에 미칠 파장을 우려한 게 아니겠냐”고 분석했다.

정용수ㆍ위문희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