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조작? 민심?…달빛기사단 사월이의 네이버 댓글 분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5일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대해 수사를 촉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동의한 사람이 20만명을 넘어섰다. 청원인 20만이 넘으면 청와대는 이에 대한 공식 답변을 내야 한다. 청원인은 “네이버 안의 기사에 달린 댓글 중 상당수에서 조작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너무나 많이 발견됐다”며 “자동 댓글 등록 프로그램으로 추정되는 비정상적인 댓글 및 추천 현상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된 한 기사에는 ‘댓글조작·공감 수 조작·매크로(댓글 자동 등록 기법) 수사한다니 유언비어 의심되는 글 캡처하세요’라는 댓글이 2000개 이상의 공감을 얻었다. 이같은 호응을 얻은 댓글은 상단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대세 의견으로 비쳐지게 된다는 게 청원인들의 주장이다.

'달빛기사단'에서 '사월이'로 활동 중인 언어치료사 유미현씨.

'달빛기사단'에서 '사월이'로 활동 중인 언어치료사 유미현씨.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의 열성 지지층인 ‘달빛기사단’에서 ‘사월이’(@windofapril)라는 이름으로 댓글 활동을 하는 유미현(48·언어치료사)씨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달빛기사단'은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문 대통령의 팬클럽과 유사하다. 다만 회장이나 임원진을 가진 공식 조직은 아니다.

“문 대통령 기사에 악플이 달리는 건 아니다.”

유씨의 첫 마디는 “현 정부의 안티팬이 문 대통령 동향 기사에 악플을 다는 게 아니다”는 것이었다. 기자의 선입견과 다른 의견이었다. 유씨는 “그보다는 북한과 관련된 기사, 사건·사고 등에 문 대통령을 비난하는 악성댓글이 몰린다”고 했다. “뉴스 분야와 상관 없이 네이버 메인 페이지(뉴스판 등) 걸린 기사들에 많은 악플이 달린다”는 게 유씨의 분석이다.

그는 특히 북한 기사엔 더욱 많은 악성댓글이 달린다고 말했다. 유씨는 ‘통일부 “남북교류 예산 편성…北 김여정 방남과 무관”’제목의 기사를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돈을 퍼준다’ ‘핵을 만들게 도와준다’ 등의 댓글들을 많이 달아놨다”며 “북 예산 관련 기사에는 틀림없이 문 대통령을 비난하려는 사람들이 들어온다”고 주장했다.

성별과 연령대를 보면 조작인지 알 수 있다?

네이버 댓글

네이버 댓글

유씨는 “네이버 댓글 통계를 보면 조작인지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댓글을 단 사람 중 남성의 비율이 높고, 50대 이상의 비율이 30%가 넘어가면 댓글을 볼 필요도 없이 정부에 대한 악플이 달려있다”는 것이다.

유씨에게 "50대 이상 남성 중 문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게 아니냐"는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해 그는 “50대가 현 정부에 불만이 많을 수도 있지만 순식간에 수백 개의 댓글이 올라오고 추천 수가 올라간다. 정상적으로 사람이 들어와서 하나씩 누르는 거라고 보기에는 의심이 간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비방 수준이 도를 넘는 댓글이 많이 달리면 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댓글 등록자의) ‘성비를 보라’는 말을 한다”고 덧붙였다.

‘달빛기사단’은 이렇게 대응한다

유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이전에는 악플에 대응하는 것이 수월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대응은 문 대통령을 향한 악플에 대해 선플을 다는 것이다. 그는 “이후 무엇인가 변화가 있고 나서는 선플을 올리기가 어려워졌다”며 “상대편(문 대통령 비방 세력)에서 특정 비율에 맞춰 공감 수를 올린다는 느낌까지 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전에는 왜곡된 기사나 댓글에 대해 사실을 알리려고 했으나 지금은 그럴 시간이 없다”며 “선플을 쓰는 시간에 이미 악플로 도배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순공감순’이 아닌 ‘공감비율순’으로 들어가 빨리 추천하기 위해 같은 문구에 그림 넣은 댓글을 반복적으로 올린다”며 “선플이라는 것을 빨리 알아보게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도 닉네임 전체가 보였으면”

유씨는 심한 욕설이나 패륜적인 악플에 대한 자제를 요구했다. 그는 “반대 진영에서도 기사에 본인의 민원사항을 쓰는 것은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신공격이나 가족에 대한 패륜적인 악플은 필요하지 않다”며 “그런다고 세상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다”고 강조했다.

또 “네이버도 ‘다음’처럼 댓글 등록자의 아이디나 닉네임 전체를 보이도록 해 익명 뒤에 숨는 행태가 없어지는 데 기여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