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돈 안 되는 우주정거장 사업에서 손 뗀다

중앙일보

입력

미국항공우주국(NASA) 랜디 브레스닉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찍은 한·일 야경 사진. [사진 랜디 브레스닉 트위터 캡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랜디 브레스닉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찍은 한·일 야경 사진. [사진 랜디 브레스닉 트위터 캡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항공우주국(NASA)의 국제우주정거장(ISS) 운영에서 손을 뗄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포스트(WP)는 11일(현지시각) NASA 내부자료를 인용해 "백악관이 오는 2024년 이후로는 국제우주정거장에 대한 연방 예산 지원을 중단하고, 민영화 절차에 나선다는 계획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천문학적인 유지 비용과 비교하면 딱히 미국 납세자들에게 돌아오는 혜택이 없다는 것이 이유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트럼프의 '미국 우선' 정책이 우주까지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NASA는 민영화 계획과 관련해 상업적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동시에 시장 수요를 분석하고 적절한 사업 모델을 세운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주 공개될 2019회계연도 예산안에도 우주정거장 운영비로 1억5000만 달러(약 1600억원)를 요청하면서 상업적 운영의 필요성이 언급될 예정이라고 WP는 설명했다.

현재도 우주정거장 운영에는 부분적으로 민간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미국은 자체 우주왕복선을 모두 퇴역시킨 2011년 이후로는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에 의존해 우주인들을 수송해왔고, 달 탐사 재계 계획도 백지화했다. 여기에 항공우주업체 보잉 등도 NASA와 계약을 맺고 있다.

그러나 민영화 방침에 대해 작지 않은 반발이 예상된다.

NASA 본부가 소재한 텍사스 주의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은 WP에 "1000억 달러나 투자해놓고 지금 손을 떼는 건 백악관 예산관리국의 멍청한 짓"이라고 비판적 입장을 밝혔다.

항공우주 3D 프린팅 분야의 앤드루 루시 역시 "우주정거장은 우주탐사와 과학을 위해 건설된 것이지, 이익을 추구하는 대상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