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통 빅3 '홈퍼니싱'대전…18조원 시장을 잡아라

중앙일보

입력

까사미아 매장. [사진 신세계백화점]

까사미아 매장. [사진 신세계백화점]

신세계가 까사미아를 인수하며 홈퍼니싱 시장에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신세계그룹은 가구 시장 10위권 업체 까사미아의 주식 92.4%를 1837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장재영 신세계백화점 사장은 “이번 인수는 ‘홈 토탈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신사업에 대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신세계백화점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신성장 동력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했다.

신세계, 인테리어 기업 까사미아 인수 #"가구 브랜드 아닌 홈 토탈 라이프스타일" #유통 빅3, 저마다 홈퍼니싱 부문 진출 #백화점·마트 성장 정체에 돌파구 찾아 #한샘·현대리바트 등 기존 강자들 촉각

장 사장은 “까사미아 인수는 하나의 가구 브랜드 인수가 아닌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이라고 말했다. 보브·스튜디오톰보이 등 패션 브랜드에 신세계인터코스 등 뷰티 브랜드에 이어 ‘홈 토탈 라이프스타일’로 제조업의 범위를 확대한다는 의미다.

까사미아 매장. [사진 신세계백화점]

까사미아 매장. [사진 신세계백화점]

또 지난 2015년 정유경 총괄사장이 책임경영을 맡은 후 첫 인수합병( M&A) 사례인 만큼 향후 공격적인 투자를 계속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를 위해 신세계는 현재 72개인 가두 상권 중심의 까사미아 매장을 플래그십스토어·가두점·숍인숍 등으로 세분화해 5년 이내에 160개로 늘린다. 또 사무용 가구와 건설 자재 등 B2B 분야도 확장해 5년 이내에 매출 4500억원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대리바트 윌리엄소노마 매장. [사진 현대백화점]

현대리바트 윌리엄소노마 매장. [사진 현대백화점]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 ‘빅3’의 가구 시장 진입은 2012년 현대백화점그룹이 리바트를 인수하며 테이프를 끊었다. 인수 당시 5049억원이었던 리바트 매출은 지난해 8700억원(추정치)으로 늘었다. 여기에 지난 18일 리바트가 현대백화점 계열 산업·건설 자재 B2B 기업 현대H&S을 합병하면서 올해 매출 규모는 1조3000억원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롯데는 2015년 ‘프리미엄 리빙관’을 열며 홈퍼니싱 시장에 진입했다. 이 밖에도 리빙전문관 ‘엘큐브’, 편집숍 ‘엘리든 홈’을 운영 중이다.
 신세계백화점도 지난 2016년 강남점에 생활전문관을 오픈했으며, 지난해엔 부산 센텀시티 점에 국내 최대규모 생활전문관을 열었다.

롯데백화점이 운영하는 리빙편집숍 '엘리든 홈.' [사진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이 운영하는 리빙편집숍 '엘리든 홈.' [사진 롯데백화점]

 실제 백화점에서 리빙·인테리어의 매출은 매년 증가 추세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최근 4년 동안 리빙 부문 매출이 매년 10% 이상씩 성장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2012년 한 자릿수에서 지난해 11.6%까지 올랐다. 송강 롯데백화점 생활가전부문장은 “최근 리빙·인테리어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며 "업체마다 소비자의 눈길을 끌기 매장 리뉴얼과 프로모션 등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빅3의 홈퍼니싱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는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앞두고 홈퍼니싱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에서 기인한다. 홈퍼니싱은 홈(Home)과 퍼니싱(Furnishing)의 합성어로 가구나 조명은 물론 침구·카펫·조명·인테리어 소품 등 집 가꾸기를 총칭한다. 통계청은 지난 2105년 기준 홈퍼니싱 시장은 약 12조5000억원인 홈퍼니싱 시장은 2023년엔 18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 등 선진국 시장에서도 소득이 올라가면 의식주 중에 주(집 가꾸기)에 대한 소비가 늘어났다”고 말했다.
 유통 빅3의 홈퍼니싱 진입은 오프라인 매장의 하락세와도 맞닿아 있다. 3사는 지난해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백화점 출점 계획이 없다. 또 유통업계의 전통적인 강자인 이마트는 지난해 매장을 2개나 접었다. 온라인과 이커머스 시장의 급성장에 반해 백화점·마트의 성장은 정체돼 있어 성장세에 있는 홈퍼니싱 시장을 돌파구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익명을 요구한 백화점 업계의 한 관계자는 “백화점도 못 짓고 마트도 못 열고 영업규제는 더 많아지는 영업 환경에서 콘텐츠로 경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신세계의 진출에 한샘·현대리바트 등 전통적인 강자들도 촉각을 곤두세웠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1~10위까지 가구 기업·브랜드 중 적자를 보는 곳은 없다. 그만큼 나름의 경쟁을 갖추고 있다”며 “이런 환경에서 신세계가 어떤 전략을 구사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한샘은 주방 가구와 B2C에서 앞서 나가고 있다. 또 현대리바트는 프리미엄 주방가구, 이케아는 저가형 홈퍼니싱 시장, 퍼시스·일룸·시디즈 브랜드를 소유한 퍼시스 그룹은 사무용 가구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샘 관계자는 “최근 일괄 패키지 형태의 홈 인테리어가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며 “이 서비스에 대한 기술력과 노하우, 과감한 투자를 하는 브랜드가 소비자의 마음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주 기자 humane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