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두달내 다시 개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남북과 미국.일본.중국.러시아는 29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6자회담에서 차기 회담을 열기로 합의하고 구체적 시기와 장소는 외교 채널을 통해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우리 정부 대표단이 말했다.

한국 측 수석대표인 이수혁(李秀赫)외교부 차관보는 기자회견에서 "참가국은 두달 안에 (2차회담을) 여는 것이 좋겠다는 입장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핵 문제의 대화 해결을 위한 모멘텀은 이어갈 수 있게 됐고, 늦어도 10월 중에는 2차회담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李차관보는 또 "참가국들은 북핵 해법과 관련해선 단계별.병행의 방법으로 포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데도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북한이) 사태를 악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도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

李차관보는 이어 "북핵의 평화적 해결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과 한반도의 비핵화는 기필코 실현돼야 하고, 북한의 안보 우려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데 참가국들이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수석대표인 왕이(王毅)외교부 부부장도 참가국들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한반도의 비핵화와 북한의 체제 보장 고려 ▶북핵 해법의 단계적.병행 실시 ▶회담 기간 중 북한의 추가적인 상황 악화 조치 금지 ▶대화 유지 및 공동 인식 확대 ▶6자회담 지속 등 6개항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회담은 참가국 간 이견으로 합의 사항을 담은 공동 발표문을 내지는 못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와 관련,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 전환 의지를 밝히길 거부함에 따라 다음 회담 전망 자체가 위험에 빠지게 됐다"고 주장해 차기 회담 일정 확정을 둘러싼 교섭 과정에서 참가국 간에 줄다리기도 예상된다.

이에 앞서 북한 수석대표인 김영일 외무성 부상은 28일의 전체회의에서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을 전환하지 않을 경우 핵 보유를 선언할 준비가 돼 있고, 핵 실험을 실시할 용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윤영관(尹永寬)외교통상부 장관은 다음달 2~7일 미국을 방문, 6자회담 결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대책을 협의할 예정이다.

[베이징=특별취재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