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살의 아픔도 치유하는 ‘그들만의 노래’ 찾아주고 싶어요”

중앙일보

입력

너무나 많은 음악이 존재하지만, 정작 ‘그들만의 음악’은 없는 곳.
월드프렌즈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 한국 정부가 주도하는 해외 파견 봉사단) 봉사단원 김정임(41·여)씨에게 르완다는 그랬다. 지난해 4월부터 수도 키갈리의 르완다 교육청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음악 교수법을 가르치고 있는 김씨는 24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우리에게는 ‘아리랑’도 있고 ‘섬집 아기’도 있지만, 르완다에선 악보가 있는 고유의 음악이나 노래를 찾을 수가 없었다. 교사가 기억하지 못하면 학생들에게도 노래를 전해줄 수 없기에, 우선 교사들에게 악보를 보는 법과 음악의 기초 이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르완다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KOICA 봉사단원 김정임씨. [KOICA 제공]

르완다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KOICA 봉사단원 김정임씨. [KOICA 제공]

김씨는 아이들이 키냐르완다어(르완다의 국어)로 마음껏 따라 부를 동요조차 없는 현실을 가장 안타까워했다. “어린이들도 어른들이 부르는 노래를 따라 부르며 흥얼거리는 정도이고, 동요라고 할 만 한 것은 외국의 비정부기구(NGO) 봉사단원들이 가르쳐준 노래 정도가 전부였어요. 가장 유명한 노래가 뭐냐고 물어봐도 공통되게 꼽는 곡이 없었습니다.”

르완다서 음악 가르치는 KOICA 봉사단원 김정임씨 #"음악을 통한 긍정적 마음이 상처와 아픔 치유하는 통로"

그렇다고 르완다 사람들이 음악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었다. 김씨는 “대부분 사람들이 하루 종일 라디오로 음악을 듣는다. 스스로 노래를 만들어 휴대전화로 녹음해 음원을 만드는 일이 흔할 정도로 르완다 사람들은 음악을 아주 좋아한다”고 말했다.

르완다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KOICA 봉사단원 김정임(왼쪽에서 셋째)씨. [KOICA 제공]

르완다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KOICA 봉사단원 김정임(왼쪽에서 셋째)씨. [KOICA 제공]

그런데도 정작 제대로 채보(採譜)된 고유 음악을 찾기 어려운 건 식민 지배와 대학살이라는 아픈 역사와 무관하지 않다. 르완다의 다수 종족은 후투족으로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20세기 초반 벨기에가 르완다를 식민통치하면서 소수족인 투치족(전체 인구의 약 15% 내외)을 중용, 차별이 심해졌다. 62년 르완다가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이후 두 종족 간에 극심한 분쟁이 이어졌다. 급기야 권력을 잡은 후투족 출신 대통령이 94년 암살되자 후투족은 투치족을 상대로 무자비한 보복에 나섰다. 4월7일부터 100일 간 대학살이 이어졌고, 어린이와 여성을 포함해 약 100만명이 사망했다. 투치족 전체의 70% 정도가 희생된 것으로 집계된다. 2000년대 들어서야 정부가 기능하게 됐다.

김씨는 “이런 과정에서 고유 음악의 악보화 등이 이뤄지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며 “르완다 사람들은 음악을 소중히 여기면서도 어떻게 하면 체계적으로 공유하고 잘 보전해서 다음 세대에 남길 수 있는지는 알 수가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치적으로 안정을 찾은 이후에도 경제 개발에만 국가 역량을 쏟느라 음악은 우선순위에서 밀린 것 같다. 지금도 음악은 선택 과목으로, 나에게 음악 교수법 연수를 받는 교사들도 영어와 수학이 본래 가르치는 과목이고 시간이 나면 음악을 가르치는 식”이라고 설명했다.

르완다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KOICA 봉사단원 김정임씨. [KOICA 제공]

르완다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KOICA 봉사단원 김정임씨. [KOICA 제공]

그러면서도 김씨는 “하지만 르완다 노래 중에 가사가 슬픈 곡은 들어보지 못했다. 이렇게 음악을 통한 긍정적인 마음의 표현이 르완다인들에게는 상처와 아픔을 치유하는 통로가 되고 있다는 점을 많이 느꼈다”고 말했다. 또 “음악은 다른 학문과 달리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에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모두가 자신들만의 음악을 갖고 있다”며 “이는 기쁠 때 박수를 쳐야 한다고 가르치지 않아도 누구나 박수를 치듯 자연스러운 것으로, 이 같은 힘을 가진 음악을 보다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씨는 교사와 아이들을 직접 가르치면서도 희망을 봤다고 했다. 김씨는 “학교마다 지원을 받아서 피아노를 구비하고는 있는데, 칠 줄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 포장 박스를 뜯지도 않고 구석에 방치해놓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며 “그런데 연수를 통해 피아노를 좀 배우더니 학교로 돌아가 드디어 포장을 뜯고 피아노를 치는 사진을 찍어서 보내준 교사들이 있었다. 너무 인상 깊었다”고 돌아봤다.

김씨의 본업은 교사 연수이지만, 레메라 가톨릭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합창단도 지도하고 있다. 교사들보다도 배우는 속도가 훨씬 빨라 가르치는 보람도 크다. 김씨는 “아이들이 음계 이름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어서 ‘도레미송’을 먼저 가르쳤다. 아리랑도 알려줬는데 8분의5박자, 8분의 6박자가 대부분인 르완다 노래들과 리듬이 비슷해서 그런지 신나 하면서 계속 따라부르고 싶어하더라”며 웃었다.

김정임씨로부터 음악 수업을 듣고 있는 르완다 학생들. [KOICA 제공]

김정임씨로부터 음악 수업을 듣고 있는 르완다 학생들. [KOICA 제공]

한국에 있을 때는 학교와 영어 학원에서 강사로 활동했던 그가 르완다에서 봉사 활동을 하게 된 데는 우연치 않은 기회에 해외 봉사를 통해 느낀 설명하기 힘든 힘 때문이었다고 한다. “교회를 통해 캄보디아 고아원에 단기 봉사 활동을 갔는데, 몸이 많이 아팠어요. 그런데 아프다가도 막상 아이들을 도우면서 봉사를 하면 안에서 에너지가 솟더라고요. 앙코르와트 유적을 가는 것보다 지금이 아니면 다시 못 볼 어린이들이 있는 고아원에서 봉사하는 것이 훨씬 더 좋았어요. 기회를 얻지 못 한 사람들을 어떻게든 돕고 싶다는 마음에 이곳 르완다까지 오게 됐습니다.”

르완다에서 김씨의 봉사 활동 기간은 내년 4월이면 끝나지만, 임기 연장도 생각하고 있다. 3월을 목표로 합창 경연대회를 구상 중이기 때문이다.

그가 르완다에서의 음악 봉사를 통해 이루고 싶은 꿈은 무엇일까. 그는 “단순하더라도 아이들이 보고 쉽게 노래를 배울 수 있는 음악 교과서가 마련되는 것과 음악이 정규 교과 과정에 포함되는 것”이라고 답했다. “지금 연수 받는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계속 열심히 해준다면 3~4년 정도만 지나도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믿습니다. ‘르완다의 노래’, ‘르완다의 동요’라는 것을 만들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들었을 때 ‘우와, 이 노래 좋다’고 감탄하는 날이 분명히 올 거에요. 전 르완다 사람들이 차근차근 이런 그들만의 음악을 찾도록 도울 뿐입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