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국 요청하면 전술핵무기 재배치 검토"

중앙일보

입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위터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위터 캡처]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옵션으로 한국 내 전술핵 재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미 NBC 뉴스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BC는 이날 '트럼프 팀, 북한에 대한 공격적인 옵션 준비'라는 제목의 보도에서 백악관 및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해 북한의 6차 핵실험 후 트럼프 행정부가 사이버 공격과 정찰강화를 포함한 '공격적인' 대북 옵션을 진지하게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백악관 관계자는 한국의 요청이 있을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에 전술핵을 배치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NBC에 밝혔다. 또 중국이 원유 수출을 차단하는 등 대북 압박을 강화하지 않으면 한국과 일본이 독자적인 핵무기 프로그램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은 이를 막을 수 없다는 뜻을 미국 관리들이 중국 측에 밝혔다고 한 당국자는 전했다.

북한 핵실험 직후인 지난 6일 고위 국가안보 보좌관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제타격을 포함한 여러 대북옵션을 제시했다고 미 행정부 관리들은 전했다. 다만 이들은 미국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다. 핵무기 선제 사용은 극단적으로 공격적인 수단으로, 미국인과 동맹국의 지지를 받지 못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도 "정책 과정의 일부로서 모든 옵션을 점검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는 또 그간 중국 은행 시스템에 대한 제재를 보류해왔으나 이에 대한 제재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NBC는 전했다. 검토 중인 옵션 중 하나는 유럽에서 미사일 방어용으로 운용하는 지상 기반 SM-3 요격미사일 배치다. 북한을 출입하는 선박에 대한 조사를 의무화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을 제안할 수도 있다. 북한이 수출하는 미사일 부품과 수입하는 재료 등을 실은 선박을 겨냥한 조치라고 NBC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45분 동안 전화 통화를 가졌으나 두 지도자는 진전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