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화성-12형, 예정 궤도와 실제 비행 궤적 거의 일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지난 29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시험발사에 나선 가운데 미사일이 예정했던 궤도대로 날아갔다는 분석이 나왔다.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된 미사일의 예정 궤도와 실제 비행 궤적이 거의 일치한 것이다.

북한 미사일의 비행 궤적(왼쪽)과 북한의 발사 당시 예상 궤도. [중앙포토]

북한 미사일의 비행 궤적(왼쪽)과 북한의 발사 당시 예상 궤도. [중앙포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화성-12형 발사 훈련에 참관한 모습을 여러장의 사진과 함께 전했다. 김정은 옆에 위치한 모니터엔 예정 궤도와 실제 비행 궤적이 모두 나타나 있다. 사진 속 모니터엔 '00:33'이라는 숫자가 적혀있는데, 미사일 발사 33초 후에 찍힌 사진으로 추정된다.

김정은이 옆 모니터에 화성-12형의 비행 궤도 등 정보가 나타나 있다. [사진 조선중앙TV]

김정은이 옆 모니터에 화성-12형의 비행 궤도 등 정보가 나타나 있다. [사진 조선중앙TV]

노동신문을 통해 노출된 화성-12형의 예정 궤도는 일분 훗카이도 상공을 지나 북태평양을 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제 미사일의 궤적과 거의 일치하는 모습이다. 또, 모니터 외에도 사진에선 '화성포-12형 로케트 사격방안'이라고 적힌 지도도 노출됐는데, 실제 탄착점과 비슷한 지점에 붉은 점이 표시되어 있다.

[사진 노동신문]

[사진 노동신문]

때문에 합성·보정 작업 등을 통해 사진 속 예정 궤도가 조작되지 않은 이상, 북한이 당초 예상한 대로 미사일이 날아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약 2700km에 달하는 거리를 예정대로 날아갔다는 것이다. 노동신문은 사진과 함께 "발사된 탄도로켓은 예정된 비행 궤도를 따라 일본 홋카이도의 오시마 반도와 에리모갑(에리모미사키) 상공을 가로질러 통과하여 북태평양 해상에 설정된 목표 수역을 명중 타격하였다"고 주장했다.

지난 29일 평양 순안 국제공항에서 화성-12형이 발사하고 있다. [사진 노동신문]

지난 29일 평양 순안 국제공항에서 화성-12형이 발사하고 있다. [사진 노동신문]

북한의 미사일이 최근 잇따른 시험발사에 나서고 있지만 이정도의 정밀도를 갖춘 것은 유의해서 지켜봐야 할 부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화성-12형은 동해 상공에서 1단 추진체의 연소를 끝내고 탄두부 아래에 장착된 후추진장치(PBV)를 성공적으로 작동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후 화성-12형은 PBV를 통해 미사일의 자세를 조절하며 훗카이도 상공에서 최대고도 550여km에 도달해 대기권에 재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선임분석관은 "예정한 궤도로 화성-12형이 비행한 것을 보면 정밀도가 꽤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이번 발사로 소위 '3·18 혁명' 엔진으로 불리는 IRBM급 이상 탄도미사일의 주엔진의 안정적 작동이 증명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