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동산 대책 효과적” 53% “8월 위기설 실현성 낮다” 59%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중앙일보가 14~15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8월 위기설’에 대해 담담하게 반응했다. 8월 위기설에 대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36.5%에 그친 반면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은 58.6%였다. 단 전쟁에 대한 우려는 젊은 층에서 더 높게 나왔다. 20대의 45.8%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지만 60대 이상에선 34.9%였다. 지역별로는 주요 시설이 밀집한 서울(40.7%)과 수도권(37%)에서 상대적으로 우려가 높았다.

전쟁 우려, 20대선 46% 60대 35% #“한반도 운전자론 긍정평가” 60% #가장 잘한 건 "소통” 못한 건 "안보” #“최대 과제는 일자리 창출” 43%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62.9%가 “압박·제재와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대화 우선”은 20%, “최대의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답변은 14.9%였다. 한반도 문제에 대한 한국의 주도권을 내세운 문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에 대해선 60%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정적 평가는 33.7%였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관련기사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선 응답자 10명 중 8명(83.9%)이 긍정 평가했다. 응답자 1000명 중 ‘매우 잘했다’는 답변이 34.8%, ‘잘하는 편이다’는 49.1%였다. ‘잘못한 편’(9.3%)이라거나 ‘매우 잘못했다’(3.3%)는 응답은 12.6%였다. 다만 야권을 중심으로 최근 여론조사를 두고 “문 대통령 지지자들이 적극 응답한 결과”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문 대통령에게 투표했다는 이들이 53.5%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의 대선 득표율은 41.4%였다. 이는 투표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로 유권자 전체(미투표자 포함)를 대상으로 하면 31.6%에 해당한다.

◆대북정책은 반대층에서 부정적=국정수행을 “잘했다”고 응답한 사람들에게 가장 잘한 점을 묻자 36.8%가 소통·국민공감이라고 답했다. ‘서민 위주의 정책’을 꼽은 응답자가 14.4%, ‘개혁과 적폐청산’을 택한 비율도 11.4%였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들에게도 이유를 물었다. 응답자의 27.9%가 대북정책과 안보가 문제라고 답했고 인사 잘못이 9.3%, 인기몰이식 정책 남발이라고 답한 비율이 7.3%였다.

찬반 논란이 가열됐던 개별 정책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신고리 5, 6호기 건설 일시 중단에 대해 응답자의 41%는 신고리 건설을 계속해야 한다고 답했고 39.6%가 중단해야 한다고 답했다. 야당 지지자들의 중단 반대가 높았다. 자유한국당 지지자의 75.2%, 국민의당 52%, 바른정당 59.5%가 원전 건설을 계속해야 한다고 했다. 정의당 지지자의 41.6%도 원전 건설에 손을 들어줬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53.1%는 건설 중단에 찬성했다. 정부는 공론화위원회를 만들어 3개월 내에 신고리원전 건설 중단 여부를 결론 내리기로 했다.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담은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은 ‘효과적인 대책’이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52.6%, ‘과도한 규제’라고 답한 사람이 24.7%로 긍정적인 평가가 높았다. 한국당 지지자의 33.8%, 바른정당 지지자의 47.6%, 국민의당 지지자의 48.2%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중점 과제는 ‘먹고사는 문제’=향후 정부가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국정 과제로는 2개씩 답변을 받았다. 결국 ‘먹고사는 문제’가 꼽혔다. 일자리 창출이라고 한 응답자가 42.6%, 경제활성화 38%, 복지제도 확충 15.5%, 부동산 문제 해결 9.7% 등이었다.

◆어떻게 조사했나

8월 14~15일 전국 남녀 1000명에게 임의전화걸기 방식으로 전화면접 조사. 응답률은 23.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강태화·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