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통 더위에도 남아 도는 전기… 지난해와 ‘다른 모습’ 왜?

중앙일보

입력

서울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1일 오전 서울도서관을 찾은 중학생들이 미니선풍기 바람을 쐬며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책과 친구하는 여름 이야기'라는 제목의 방학숙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1일 오전 서울도서관을 찾은 중학생들이 미니선풍기 바람을 쐬며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책과 친구하는 여름 이야기'라는 제목의 방학숙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찜통 더위로 연일 열대야를 고통 받는 속에서 ‘에어컨 전원 버튼을 누를까 말까’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는 전력 예비율이 한 자리 수를 기록하면서 “국가 전력 비상 사태다. 에어컨 사용을 자제해 달라”는 정부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국가 전력이 부족하면 어떻게 하지”라는 걱정을 덜어놔도 될 것 같다.

[사진 전력거래소]

[사진 전력거래소]

 7일 전력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일 전력 예비율은 24.7%를 기록했다. 전력 예비율은 8월 1일 29.3%를 시작해 지난 6일까지 20%대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전력 예비율이란 전국 발전소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 중 사용하지 않은 전력량 비율이다.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예비율은 15%대다. 지난해 8월 8일에는 이 예비율이 7.1%까지 떨어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 등 정부 관계자들이 서울 명동 거리 등으로 나와 “에어컨 사용을 자제해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올해 전력 예비율이 남아도는 이유는 뭘까. 원자력 발전기인 신고리 3호기(1.4GW)와 화력 발전기 태안 9호기(1.05GW), 삼척그린 화력 2호기(1.02GW) 등 발전소 18기(약 15GW) 설비가 새롭게 시장에 진입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고리 1호기 등 발전기 5기 폐기로 인해 줄어든 전력량은 2GW에 불과하다.

지난해 8월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이 광주 상무역에서 직원들과 절전 가두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진 한국전력]

지난해 8월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이 광주 상무역에서 직원들과 절전 가두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진 한국전력]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난해 전력난을 호소했던 산업통상자원부 측도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인호 산업부 2차관은 지난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탈 원전 자체만 놓고 볼 때 앞으로 5년간 탈 원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은 없다”며 “2022년까지 수요 대비 전력설비 예비율이 28%에 달하기 때문에 원전 폐쇄에 따른 요금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