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 주변의 관심 적을수록 우울해지는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암 환자는 감수성이 예민해 주변의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중앙포토]

암 환자는 감수성이 예민해 주변의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중앙포토]

암 환자는 주변 사람의 관심과 도움이 적을수록 우울해 하고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사람보다 감수성이 예민해 주변 사람의 지지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의미다.

사회적 지지 낮을수록 우울하고 삶의 질 떨어져 #삼성서울병원·충북대병원 공동 연구팀 설문 결과 #치료 과정에서 불안, 재발 두려움 많아 감수성 예민 #“주변에서 환자와 대화하고 관심가지면 치료에 도움"

삼성서울병원 암치유센터 신동욱 교수와 충북대병원 충북지역암센터 박종혁 교수는 국립암센터와 함께 암 환자 1818명과 일반인 2000명을 설문 조사한 연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환자와 일반인에게 ‘힘든 일이 있을 때 솔직히 상의할 사람이 있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다고 느낀나’ 등을 물었다. 문항당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를 어느 정도 느끼는지 점수로 매기게 했다. 그 결과 8가지 항목 모두에서 암 환자들이 일반인보다 높은 점수를 매겼다. 연구팀은 "암 환자는 주위에서 걱정과 배려 등 도움의 손길을 건네는 경우가 많아 암환자가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처럼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식하는 것과 별개로 지지가 낮다고 여길 때 받는 충격은 암 환자들이 더 컸다. 연구팀이 사회적 지지 정도와 우울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암 환자든 일반인이든 주변의 배려와 관심이 적으면 우울감을 더 느끼는 것은 같았다. 암 환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우울감이 일반인보다 더 심해졌다. 또 신체·정서적·사회적·인지·역할 기능 등 삶의 질의 각 영역에서도 암 환자들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한 연구에서는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가 낮으면 암 진단 후 다시 흡연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 암환자들의 정서가 불안정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다.

암 환자는 가족과 친구의 지지가 적어지면 암 진단 후에도 다시 흡연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있다. [중앙포토]

암 환자는 가족과 친구의 지지가 적어지면 암 진단 후에도 다시 흡연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있다. [중앙포토]

연구팀은 암 환자 가족이나 친구·동료 등 주변 사람이 환자를 세심히 살펴봐 줄 것을 당부했다. 박종혁 충북대병원 교수는 “우울하고 삶이 힘들다고 느끼면 치료를 중단하거나 거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족과 친구들이 환자와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암치료 과정에서 환자들은 불안·우울을 느끼고 재발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겪는다.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환자가 우울증을 겪지 않을 수 있고 주변에 더 감사하게 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국립암센터와 6개 지역암센터에서는 올해 ‘암 환자 통합지지센터’를 구축했다. 암 환자와 가족들에게 마음의 건강과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필요한 사회 복지를 연결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일본임상암학회지(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최근호에 실렸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