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강경화·김상곤까지…논문 표절 의혹 제기한 연구진실성검증센터는?

중앙일보

입력

연구진실성검증센터의 트위터 [사진 연구진실성검증센터 트위터]

연구진실성검증센터의 트위터 [사진 연구진실성검증센터 트위터]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공론화시킨 연구진실성검증센터가 궁금증을 낳고 있다.

연구진실성검증센터는 2014년 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처음 제기한 연구부정행위 검증 민간기관이다. 언론사 '미디어워치'의 산하 기관이기도 하다. 김 후보자 외에도 그동안 조국, 강경화 등의 논문 표절 의혹을 트위터 등에 제기해왔다.

검증센터는 김 후보자의 82년 석사 논문 ‘기술변화와 노사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에서 약 130군데, 92년 박사 논문 '사회주의 기업의 자주 관리적 노사관계 모형에 관한 연구: 페레스트로이카 하의 소련기업을 중심으로'에서 약 80군데 각각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석사 논문은 ‘통으로 베꼈다’고 보일 정도로 똑같은 부분이 많았다고 밝혔다.

앞서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당내 경선 과정에서도 김 후보자의 석·박사 논문표절 의혹을 제기하고 서울대에 김 후보자를 제소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는 지난해 “44개 부분에서 정확한 출처표시 없이 사용됐다”고 인정하면서도 “완전하게 연속된 2개 이상의 문장을 동일하게 사용한 경우는 없으므로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정하기 어렵고 ‘연구부적절행위’에 해당한다”며 자체 기준에 따라 당시 조사를 하지 않고 종결했다.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강 후보자가 의원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연합]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강 후보자가 의원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연합]

한편 검증센터는 그동안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조국 민정수석 등에 대해서도 표절 의혹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검증센터는 “강 후보자의 박사 논문을 얼마 전 입수해 검토해본 결과, 인용부호(“”)와 출처표시가 없이 타인이 작성한 문헌의 문장들을 베낀 흔적들이 여러 군데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사진 조국 페이스북]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사진 조국 페이스북]

조 민정수석은 학술지 논문들 중에서 15편이 부적절행위 또는 부정행위에 연루돼 있다고 지난 달 밝힌 바 있다. 검증센터는 서울대 진실위에 적극적인 조사를 요구하면서“조만간 조 수석이 그간 자기표절을 어떻게 해왔는지 해설보고서도 작성·공개해 서울대 진실위가 이런 문제를 과연 객관적으로 조사·판정하는지 국민들이 감시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