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뿐인 청년일자리 정책은 가라"…경북 지자체·대학 뭉쳤다

중앙일보

입력

경북도와 도내 23개 시·군, 경북 36개 대학이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손을 잡았다. 이른바 '경북도 청년 일자리 만들기 청(靑)·학(學)·관(官) 협력 선언'을 통해서다.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지자체와 대학이 협약에 나선 것은 전국 첫 사례다.

'경북도 청년 일자리 만들기 청·학·관 협력 선언' #지자체는 행·재정적 지원-대학은 학사관리 편의 #1300명 대상 10개월간 월급 120만원 직무체험

'경북도 청년 일자리 만들기 청·학·관 협력 선언'은 청년들에게 현장실습의 기회와 학비를 지원하고 학사관리 편의까지 제공하는 정책이다. 이 정책은 5일 오후 2시 대구대학교에서 열리는 선언식 행사를 시작으로 본격 추진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각 지자체장, 대학 총장, 청년 등 30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에선 새 정부의 일자리 추진 방향, 창업 성공 사례 발표,
청년 일자리 활성화 토론, 청년 응원 공연 등이 펼쳐진다. '대학생 공공기관 직무체험 청·학·관 업무협약'은 이 행사의 핵심이다.

협약을 통해 지자체는 이 제도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을, 각 대학은 사업에 참여할 학생들의 학사관리를 제공하게 된다. 지역 대학생들 직무체험에 참여한다.

'대학생 공공기관 직무체험 사업'은 지역 청년이 취업하기 전에 공공기관 일자리에서 직무를 체험하면서 자신의 적성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정책이다. 근로 능력도 쌓으면서 학비도 벌 수 있다.

참여 대학생은 지자체 산하 출자·출연기관과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각종 기념관, 문화예술회관 등에서 일하게 된다. 주 4일 정도 일하면서 취업 준비도 병행할 수 있다. 1300여 명을 대상으로 10개월간 월 120만원가량씩 모두 16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경상북도 대학생 공공기관 직무체험일자리사업 체계도. [사진 경북도]

경상북도 대학생 공공기관 직무체험일자리사업 체계도. [사진 경북도]

행사에선 경북도와 각 지자체가 청년전담조직을 만들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겠다는 협력선언서도 채택한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청년 실업은 국가적 위기 상황이지만, 고용 없는 성장 시대를 맞아 해결의 기미가 쉽게 보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청년정책은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23개 시·군, 대학 등과 협력해 청년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윤호·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