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제차 탄 남성 살인했다면"…강남역 살인사건 1주기, 재조명되는 유시민 발언

중앙일보

입력

[사진 JTBC '썰전' 방송 캡처]

[사진 JTBC '썰전' 방송 캡처]

20대 여성이 서울 강남역 인근 건물 화장실에서 일면식이 없는 남성에게 목숨을 잃은 '강남역 살인사건'이 1주년을 맞으면서 유시민 작가가 이와 관련해 했던 발언이 재조명되고 있다.

지난해 5월 26일 방송된 JTBC '썰전'에서 유 작가는 "여성혐오자는 소수다"라는 전원책 변호사의 주장에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전 변호사는 "여성 혐오를 하는 것은 특정 일부 소수"라며 "가령 젊은 여성들의 결혼관을 비판하는 것도 일부가 대상이지 전체는 아니다. 남자도 마찬가지다. 무조건 미모의 여성만 찾거나 처가에 돈이 많은 것만 찾는 (일부) 남성들의 직업관이나 여성관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여성혐오라는 용어가 왜 생겼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유 작가는 "어떤 조현병 환자가 부촌 골목길을 지키고 있다가 명품 핸드백을 든 여자나 고급 외제 차 탄 남자가 나타나길 기다렸다가 칼로 찔러서 죽였다고 생각해보자"며 "경찰에 잡혀 와서 '부자들 때문에 내가 못 살겠다'고 가진 자들에 대한 증오를 표출하면서 그것을 범행 동기로 설명했다고 생각해보라"고 예시를 들었다.

전 변호사는 "실제 그런 사건이 있었다"고 수긍했다.

유 작가는 "(이런 사건은) 진지하게 받아들일 것"이라며 "계층 간의 증오나 혐오가 정신질환자의 무의식 세계에 투영되어 질환의 형태로 나타날 때까지 방치해서 되겠나 자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강남역 살인사건 피의자가 특정한 어떤 여성을 죽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묻지 마'라고 하는 거지만 여성을 겨냥해서 기다렸다"며 "이럴 때는 우리가 이 문제에 관해 남자들만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우리가 과거에서 물려받은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없는지를 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남자들은 잘 이해 못하는 것 같다"며 "저도 남자긴한데 우리는 골목길 가다가 누가 뒤에 따라오는데 슥 돌아보고 나보다 덩치가 작으면 그냥 간다. 근데 여성들은 기본적으로 남자에 비해 힘이 약하기 때문에 뒤에 저벅저벅 따라오는 그림자의 덩치가 크든 작든 간에 공포감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렇게 일상생활 속에서 항상 공포감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심리상태에 대해 남성들이 한 번쯤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16일 수원지법 성남지원에 따르면 '강남역 살인사건' 피해자 A씨의 부모가 범인 김모(35)씨를 상대로 5억여원을 배상하라며 지난 11일 소송을 냈다.

A씨 부모를 대리한 대한법률구조공단 관계자는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여성을 대상으로 한 혐오범죄가 다시는 재발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A씨의 부모를 도와 소송을 제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씨는 지난해 5월 17일 오전 1시쯤 서울 강남역 10번 출구 근처에 있는 한 주점 건물의 공용화장실에서 A씨를 흉기로 여러 차례 찔러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지난달 13일 대법원에서 징역 30년 형을 확정받았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