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북한 고사 전략 협의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8일 오전(현지시간) 뉴욕에서 장관급 회의를 갖고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동 대처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회의는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 장관이 주재한다. 안보리의 장관급 회의는 이례적이다.

한국·중국·일본 등 동북아 3국 순방길에 나선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왼쪽)이 지난 3월 18일 베이징에서 열린 미·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악수하고 있다. 이날 회담에서는 북핵 위협과 사드 배치 등 현안이 주로 논의됐다. [사진 중앙포토]

한국·중국·일본 등 동북아 3국 순방길에 나선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왼쪽)이 지난 3월 18일 베이징에서 열린 미·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악수하고 있다. 이날 회담에서는 북핵 위협과 사드 배치 등 현안이 주로 논의됐다. [사진 중앙포토]

틸러슨 장관은 ‘압박’과 ‘회유’를 두 축으로 하는 트럼프 정부의 대북 정책을 설명하고 이사국들의 동참을 호소할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을 국제사회에서 외교ㆍ경제적으로 고립시키면서 핵을 포기하고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려는 양동 작전이다. 이에 따라  ‘(대북) 압박의 폭발’(burst of pressure)을 만들기 내기 위해 국제 공조를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미국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과의 수교국들이 북한 공관의 불법 거래를 강력히 단속하고 제재하도록 촉구할 방침이다. 북한 공관과의 외교 업무를 중단하고, 북한 공관을 폐쇄하도록 요청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공관이 각종 불법거래를 통한 달러화 조달과 핵ㆍ미사일 부품 조달 창구가 됐다는 의혹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한편 틸러슨 장관은 27일 미국 공영라디오 NPR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북한 체제 붕괴나 빠른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 미국이 원하는 것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것을 (북한에) 납득시키고 싶다”며 북미간 직접 대화 가능성을 표명했다.

또 폭스뉴스에 출연해 “중국이 북한에 추가 핵실험을 만류하고, 강행 시 독자 제재를 가하겠다고 북측에 통보했다고 (중국으로부터) 들었다”고 밝혔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jwsh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