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65억 '왕의 남자' 관객 1000만 눈앞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런 매출액 700억원을 통상적인 배분비율로 나눈다고 할 때 투자사(시네마서비스.CJ엔터테인먼트.충무로펀드 등)는 162억원 이상, 제작사(이글픽쳐스.씨네월드)는 100억원 이상의 수입이 기대된다. 여기에 비디오.DVD.방송 등 부가판권 수입도 25억원가량 예상하고 있다.

공동제작사 씨네월드의 대표이기도 한 이준익 감독은 그동안 다른 한국영화 제작을 통해 적지 않은 빚을 져왔다. '황산벌'(2003년)의 성공에도 남은 빚은 30억원대로 알려졌다. 심지어 '왕의 남자'의 언론시사회 당일에도 빚독촉을 받고 급히 은행을 다녀왔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다. 네티즌들 사이에 "'왕의 남자'가 700만 관객을 넘어서면 이 감독이 대충 빚을 갚는다"는 소문이 돈 것도 이런 배경이다. 물론 이제 빚 갚는 수준은 훌쩍 넘어섰다.

주연 배우들이 흥행에서 얻는 추가 수입은 아직 없다. 스타시스템을 내세운 영화가 아니어서 러닝개런티(흥행 성적에 따라 수익을 분배받는 것) 계약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흥행 성적에 따른 보너스가 지급될 전망이다.

배우들의 인기 상승 효과도 크다. 여장 남자로 집중 조명을 받은 이준기는 톱스타들이 도맡아온 모 의류광고의 주인공으로 새로 발탁됐다. 감우성.유해진도 이미 보험회사 광고에 출연해 별도 수입을 올렸다.

극 중 연산과 공길의 놀이에 등장한 손인형을 갖고 싶다는 관객들의 문의가 줄을 잇기도 했다. 이를 제작한 아트서비스 측은 뒤늦게나마 시판용 제작을 검토하고 있다.

이후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