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 신고제 벌칙강화|허위신고땐 거래액의 30%까지 벌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부동산투기를 강력 억제하기 위해 현행토지거래신고제와 허가제의 벌칙규정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거래가격을 낮춰 신고하는 경우에는 토지개발공사가 우선적으로 사들이는 공공기관 선매제도를 내년부터 실시해나갈 방침이다.
5일 건설부에 따르면 ▲토지거래신고제의 경우 거래신고를 않거나 허위신고를 했을 때 「50만원이하의 벌금 또는 6개월이하의 징역」을 부과토록 되어있는 현행벌칙규정을 「거래가격의 30%이하의 벌금또는 6개월이하의 징역」으로 고치고 ▲토지거래허가제의 경우 무허가 거래계약에 대해 「5백만원이하의 벌금 또는 2년이하의 징역」의 현행벌칙을 「거래가격의 50%이하의 벌금 또는 2년이하의 징역」으로 고치기로 하고 이에 필요한 국토이용관리법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예컨대 부동산투기를 목적으로 1억원짜리 야산을 사면서 토지거래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지금까지는 50만원의 벌금처벌만 받았지만 앞으로는 거래가격의 30%인 3천만원의 벌금을 물게 되는 셈이다.
건설부는 또 실제 거래가격을 속여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기준가격 (기준지가의 1백2O%+부대비용) 보다 낮게 신고하는 경우에는 토지개발공사로 하여금 그 가격으로 우선적으로 사들이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 84년12월부터 실시한 토지거래신고제의 현황을 보면 9월말현재 총7만6백88건이 신고신청서를 냈는데 이중에 6만5천8백36건이 접수됐고 6%에 해당하는 4천2백6건이 반려(수정권고) 됐으며 6백46건이 심사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된 경우는 ▲거래가격이 지나치게 높아 투기성이 있거나 ▲토지이용목적이 부당한 경우등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