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잡스, 평생직장 사라진 시대에 '직업'을 논하다

중앙일보

입력

JTBC '밥벌이연구소-잡스' 제작발표회 [사진 JTBC]

JTBC '밥벌이연구소-잡스' 제작발표회 [사진 JTBC]

진로 탐색에 대한 욕구가 많아지고 있는 시대에, 생소하던 소재인 '직업'이 예능 안으로 들어왔다. JTBC 예능 '밥벌이연구소-잡스(이하 잡스)' 얘기다.


'잡스'는 다양한 직업인들을 '밥벌이연구소'로 초대해 직업을 탐구하는 예능이다. MC인 전현무, 박명수, 노홍철은 출연한 직업인들에게 "어떻게 입문할 수 있느냐"에서부터 "얼마 버느냐"는 질문까지 엉뚱하고 민감한 질문을 '마구잡이'로 내던진다. 박찬호·송재우 야구해설가가 초대된 지난 2일 첫 방송에서는 시청률 1.3%(닐슨코리아, 전국 기준)를 기록했으며, 손혜원·박주민·김경진·하태경 의원이 출연해 국회의원을 탐구한 2회에서는 시청률 3%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28일 오후 서울 상암 JTBC 사옥에서 제작발표회에서 '잡스'의 제작진들을 만나봤다.

이직의 시대, 직업은 전 세대의 관심사 #"앞으로는 평범한 직업군들도 많이 부를 생각"

"직업은 전 세대의 관심사" 

연출을 맡은 김희정 PD는 기획 의도에 대해 "처음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이제는 연예인들이 나와서 '신변잡기' 얘기하는 걸 시청자들은 궁금해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었다"며 "그렇게 해서 생각하게 된 게 직업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진 '이직의 시대'다"며 "20대는 처음 구직하는 세대고, 30·40대는 끊임없이 이직을 갈망하는 세대며, 50·60대는 자녀들의 직장을 걱정하는 세대라 전 세대를 아우르는 관심사가 직업이라 생각했고 허심탄회하게 얘기해보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JTBC '잡스' 제작발표회 [사진 JTBC]

JTBC '잡스' 제작발표회 [사진 JTBC]


사실 '직업'을 예능의 중심 테마로 끌고 들어온 사례는 극히 드물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기존에 '직업'이라는 소재는 대부분 '체험 삶의 현장'처럼 힘든 일 위주로 소개되거나 '극한 직업'처럼 다큐멘터리 성으로 다뤄졌다"며 "진로 탐색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직업관이 바뀌는 시점에서 등장해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예능, 무조건 웃기는 시대는 끝"

생소한 '직업'이라는 소재가 예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에 대해 김희정 PD는 "이제는 시청자들이 '예능이라고 해서 무조건 웃겨야 한다'고 생각하는 대신 진지한 얘기를 들을 준비가 돼 있는 것 같다"며 "출연자들끼리 얘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웃음이 예능의 요소인 것 같고 억지로 웃기려고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MC를 맡은 전현무는 "어떤 직업이냐에 따라 시청률에 편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셰프가 나왔는데 셰프라는 직업에 관심이 없으면 보지 않을 것 아니냐. 이런 단점이 있지만 이는 우리가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국남 대중문화평론가는 "최근 예능의 트렌드는 그저 웃기는 것에서 머무르지 않는다. '무한도전'과 같이 얼마나 진정성을 담보하느냐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잡스'가 유명인 위주로 직업을 소개하고 있지만 정말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일반 직업인들을 불러 진솔하게 궁금증을 풀어준다면 시청률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했다.

"일반인도 불러 다양한 직업 탐구해볼 것"

현재까지 '잡스'는 야구해설가와 국회의원 직업을 탐구하며 '박찬호' 등 유명인을 불러들였다. 하지만 앞으로는 일반인이 포함된 다양한 직업군이 등장할 예정이다. 김희정 PD는 "제 직업이 피디라 '피디'라는 직업을 꼭 탐구해보고 싶다"며 "기자와 지금 많이 고생하고 있는 판·검사도 물론이고, 심리학자, 의사 등 탐구해볼 수 있는 직업이 많다"고 말했다. MC를 맡은 박명수는 "요즘 시대에 직업에 귀천이 어디 있느냐"며 "다양한 직업을 소개해주면서 궁금증을 풀어주고, 특히 청소년들한테 훌륭한 정보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30일 방송될 3회에서는 뮤지컬 배우, 다음달 6일 방송될 4회에서는 여행가이드 직업이 탐구 대상이 될 예정이다. 매주 목요일 오후 9시 30분 방송.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