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연구활동 위축조짐 보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최근의 노사분규는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금난을 겪고있는 기업은 88년 연구활동의 갈피를 못 잡고 있으며 기업연구소들은 활동의 위축을 우려하고있다.
지난11일 개최된 기업 체 연구소장 협의회에서도 이 문제가 지적 됐다. 연구소장들은 기업이 어려워졌을 때에는 장기간 투자를 요하며 자금회전 기간이 긴 연구개발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이들의 모임에서 일부기업은 오히려 연구개발 투자만이 살 길이라는 결론아래 지속적인 개발투자가 계속되리라는 회사의 입장을 밝혔지만 일부 기업은 전망이 어둡다고 내다봤다.
따라서 내년부터는 기업 연구소의 양극화현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오히려 투자를 가속화하는 기업과 기술개발투자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는 두가지현상이 뚜렷해 지리라는 것이다.
그동안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은 크게 고조되어 왔다. 86년에 1백7개의 기업연구소가 새로 생겨 전년보다 63%가 급증했고 금년에는 1백8개의 연구소가 신설돼 총3백98개에 달했다.
연구원수도 86·87년에 6천여명이 추가돼 1만5친7백여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이런 추세가 한풀 꺾일 전망이다.
과기처 진해술 정책기획관은『기업이 갈피를 못 잡고있는 상황이어서 연구활동의 실태파악 조차 힘든 형편이다』며 『앞으로 기업의 연구개발 방향이나 투자에 변화가 있을 것 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여기에 정부의 지원도 여의치 못하다.%년예산은 선거와 올림픽등 정책적인 고려로 개발투자의 여력이 없다.
산업기술진홍협회는 정부가 발표한 2000년까지 GNP의 5%를 연구개발에 투자하려면 과학기술관련 예산이 전 예산의23·9%가 되어야한다고 건의했다. 그러나 88년 예산에서는 12%에 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고임금시대에 직면할수록 연구개발에 더 힘써야 한다는 논리를 편다.
산기협 김영우부회장은 『기업이 선택할 시점에 왔다』며 『일부기업은 오히려 연구개발활동을 강화해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개발하는 등 적극 대처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인건비 비중이 큰 중소기업은 공장자동화(FA)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려는 경향이다.
유한양항 김충섭 연구소장은『대기업보다는 중견기업의 연구쪽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므로 세제혜택등을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등 적극적지원이 아쉽다』고 기업의 연구지원을 역설했다.
이들은 기술개발이 주춤하면 그 영향이 3∼4년 뒤부터 나타나 선진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계속 작용하므로 장래를 내다보는 안목에서 어떤 해결책이 나와야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장재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