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들 취미는 등산·바둑·여행·음악순|술마시기도 5명…평론가들은 소극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문인」하면 쉽게 연상되는 것이 「기벽」이다. 그러나 국내문인들이 즐기는 취미는 보통사람들과 거의 다를 바 없이 등산·바둑·여행 등인 것으로 밝혀졌다.
월간 『소세문학』 지가 최근 7백42명 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문인취미활동분석」에 따르면 문인들이 즐기는 취미는 ①등산(86명) ②바둑(78명) ③여행(67명) ④음악(60명) ⑤운동(52명) ⑥낚시(46명) ⑦독서(39명) ⑧서예(30명) ⑨원예(29명) ⑩수석(27명) 의 순.
취미생활 중 선두를 달리고 있는 등산은 문인들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글쓰기작업이 일반노동자들과 마찬가지로 육체소모가 큰 작업임을 나타내고 있다. 연령별로는 50대(37), 40(27) 등으로 집계되어 오래 글쓰기를 계속해온 문인들일수록 건강, 곧 작업량이란 공식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위로 지목된 바둑 역시 문인들의 건강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등산이 육체의 건강을 상징한다면 바둑은 정신의 건강을 상징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바둑분야에는 여류문인이 한 명도 없다는 것이 눈에 띈다.
3위를 기록한 여행은 취미로만 즐기기보다 좋은 작품소재를 찾거나 작품의 배경을 탐사하기 위한 목적이 대부분 가미되어 있음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 즉 창작성이 가장 덜한 평론분야에선 단 한 명도 꼽지 않아 이를 증명하고 있다.
또 4위를 기록한 음악은 여류문인들 중에는 1위를 기록해 바둑과 반대로 여류들은·음악감상을 통해 글쓴 후의 정신적 긴장을 푼다고 볼 수 있다.
이밖에 「아름다운 여자 바라보며 마음대로 상상하기」「바람소리 듣기」 「별보기」「꿈꾸기」등도 들어있어 문인들의 낭만성과 열린 의식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술마시기」(5명)을 취미로 써놓은 문인들까지 있어 「얼마나 애주가면 취미생활에까지 포함시킬까」하는 놀라움(?)을 안겨주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