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가격’ 공공택지 아파트, 올해는 과천·위례·하남 ‘주목’

중앙일보

입력

분양가가 싸고 희소성이 높은 공공택지 아파트의 인기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은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신도시 전경. [사진 경기도시공사]

분양가가 싸고 희소성이 높은 공공택지 아파트의 인기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은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신도시 전경. [사진 경기도시공사]

공공택지는 재건축·재개발과 함께 수도권 분양시장의 ‘쌍두마차’로 통하는 지역이다. 특히 집 지을 땅이 많은 경기·인천에선 공공택지가 분양시장을 주도해 왔다. 분당·일산·판교·위례 등 1·2기 신도시가 대표적이다. 최근엔 남양주 다산신도시, 화성 동탄2신도시가 인기 주거지로 꼽힌다. 지난해 11월 분양된 동탄2 우미 린스트라우스 더레이크는 1순위에만 6만여 개의 청약통장이 몰려 평균 7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공택지에 주택 수요가 몰리는 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계획적으로 개발해 기반시설이 잘 갖춰지고 주거환경도 쾌적하기 때문이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민간택지보다 집값도 10~20% 싸다. 다만 공공주택은 무주택자여야 청약할 수 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11·3 부동산대책과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청약시장이 주춤한 상황이지만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장점 덕에 무주택 실수요자에겐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올해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알짜 단지가 잇따라 나온다. 15일 부동산정보업체인 부동산인포와 닥터아파트, LH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5만7000여 가구가 주인을 찾는다. LH가 공급하는 공공주택 8000여 가구와 민간 건설사가 내놓는 민간주택 4만9000여 가구로 지난해보다 23% 줄어든 수치다. 정부가 2014년 말부터 올해까지 대규모 공공택지 지정을 중단한 여파다.

분양 예정 공공택지 중 눈길을 끄는 곳은 ‘준(準) 강남권’인 과천지식정보타운과 위례신도시, 하남 감일지구다. 과천시 갈현·문원동 일대에 조성되는 과천지식정보타운에선 올해 첫 분양이 시작된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11월 S4~6블록에 총 1922가구를 내놓는다. 2014~15년 청약 돌풍을 일으킨 위례에선 올해 말 분양이 재개된다. 2015년 11월 육군 특전사 부지 이전 문제로 분양이 중단된 지 2년여 만이다. 호반건설이 A3-5블록에서 중대형(전용 85㎡ 초과) 699가구를 분양한다. 서울 송파 생활권인 감일지구에선 LH와 현대건설 등이 공공·민간 물량을 선보일 예정이다.

과천 외에도 올해 분양을 하는 공공택지가 많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역곡·온수역과 인접한 서울 구로구 항동지구에서는 제일건설과 중흥건설이 각각 345가구, 419가구를 분양한다. 은평뉴타운과 맞닿은 고양 지축지구, 판교신도시와 가까운 성남 고등지구도 상반기 안에 분양을 시작한다.

청약 1순위 마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남양주 다산신도시에서는 GS건설·신안 등이 분양 릴레이를 이어간다.

전문가들은 청약·대출 규제, 주택 공급과잉 같은 악재로 지난해만큼 청약 열기가 뜨겁진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정한 미분양 관리지역(인천 연수구, 경기 평택·시흥·안성)에 포함된 곳에선 미달 단지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반면 입지가 좋고 분양가 경쟁력이 높은 단지에는 여전히 청약자가 몰릴 전망이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서울 접근성이 좋은 과천·성남·고양·하남 등의 공공택지 물량은 인기가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택지 아파트는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을 신경 써야 한다. 11·3 대책에서 정한 ‘청약 조정대상지역(서울, 경기 과천·성남·하남·고양·남양주·화성 등)’에 속한 물량은 소유권 이전등기 때(입주시점)까지 분양권을 사고팔 수 없다. LH가 짓는 공공주택의 전매제한기간은 최대 6년이다. 같은 공공택지 내라도 민간인지, 공공인지에 따라 청약 자격도 다르다. 청약 전에 주변 시세를 확인하는 건 필수다. 최근 분양 경기가 꺾이면서 건설사들이 분양가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것도 수요자들이 참고해야 할 점이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아파트 잔금대출 때 원리금을 같이 갚아야 하는 분할상환 원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자금 여력을 고려해 청약 전략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