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첫째주 '잘하면~' 9일 쉰다…정부, '황금연휴' 조성 검토

중앙일보

입력

올해 5월 첫째 주에 임시공휴일을 지정해 최장 9일의 ‘황금연휴’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수 활성화를 위해 노동절, 석가탄신일, 어린이날 등의 휴일이 모여 있는 5월 첫째 주에 최장 9일의 황금연휴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5월3일(수)은 석가탄신일, 5일(금)은 어린이날로 모두 공휴일이다. 근로자의날인 5월1일(월)은 대부분의 대ㆍ중견기업에서 휴일로 운영한다.

만약 5월2일(화), 4일(목) 이틀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4월29일(토)부터 5월7일(일)까지 최장 9일을 쉴 수 있다.

이 장관은 “임시공휴일 지정을 위해서는 행정자치부 등 관계 부처의 동의와 재계의 협조를 얻어야 하겠지만, 본격적인 행락철인 5월에 연휴를 쓸 수 있다면 내수 진작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임시공휴일은 관련 부처가 지정 요청을 하면 국무회의와 대통령 재가를 거쳐 지정할 수 있다. 또 이 장관은 “내수 진작을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이라며 “외국처럼 일부러 연휴를 조성할 수 있는 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도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부가 5월 초 임시공휴일 지정에 적극 나선 것은 지난해 5월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 내수 진작에 매우 큰 효과가 있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5일은 어린이날, 7~8일은 주말이었고 정부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하고 주요 관광지를 무료로 개방했다.

지정 결과 백화점 매출액은 전년 대비 16.0% 증가했고, 고궁 입장객 수는 70% 증가하는 등 내수 진작 효과가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과 일본은 이미 노동절을 전후한 날에 공휴일을 집중 배치해 내수 진작에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