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당신] 뇌졸중 환자, 우울감 높아 자살 위험 크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5면

뇌졸중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우울감이 높고 스스로 목숨을 끊을 위험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대구로병원 뇌신경센터 김지현 교수 연구팀은 2013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자 22만8735명의 설문조사 기록을 토대로 뇌졸중 환자(4560명)와 일반인(22만4175명)의 자살 생각 및 자살 시도 위험성을 각각 분석했다.

병원리포트

그 결과 평소 우울감을 느끼는 비율은 일반인이 5.7%(1만2802명), 뇌졸중 환자는 이보다 두 배 이상 높은 12.6%(572명)로 나타났다. 극단적인 생각을 한 비율 역시 일반인 9.8%(2만2063명), 뇌졸중 환자 24.4%(1113명)로 크게 차이가 났다. 이를 실제 행동으로 옮긴 경우도 뇌졸중 환자는 1.3%(58명)이어서 일반인(0.4%·935명)보다 비율이 높았다. 연구팀은 “사회경제적 지위, 소득, 정신건강 상태 등 다른 위험 상승 요인을 배제한 결과며, 뇌졸중이 자살 위험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과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나뉜다. 웃을 때 얼굴의 좌우 모양이 다르거나 신체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 자주 넘어지는 경우, 말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의심해 봐야 한다. 세계뇌졸중기구(WSO)는 얼굴 마비(Face), 팔·다리 마비(Arms), 언어 장애(Speech) 발견 시 빠른 시간에 대처(Time to act)해야 한다는 뜻으로 각 증상의 앞글자를 딴 ‘FAST’ 검사를 강조하고 있다.

뇌졸중은 갑작스럽게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재발률도 높은 편이다. 흡연·고혈압·당뇨병·비만·고지혈증은 뇌졸중의 주요 위험인자다. 스트레스나 분노도 뇌졸중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근육 경직이나 마비, 통증, 인지 저하 등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환자도 많다. 특히 우울증은 뇌졸중을 겪은 뒤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서 장애며 자살 위험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 손상에 따른 생물학적 영향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지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설문에 응답 가능한 경증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돼 실제 비율은 더 높을 수 있다”며 “뇌졸중은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도 큰 후유증을 남기는 질환인 만큼 자살 방지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 심리적 지지 등 환자를 위한 사회적 관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신경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에 게재됐다.

박정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