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감 커진 위도 표정] 낚시꾼 가장 브로커들 퍼뜨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원전 수거물 관리시설 설치에 대해 위도 주민들이 보상금으로 거론하는 3억~5억원의 진원지는 어디인가.

정부 측이나 현지 기관장 등 누구도 말한 적이 없는 수억원 직접 보상설이 기정사실처럼 유포되고 있어 주민들의 상실감만 더하고 있다.

주민 지원에 대한 정부 관계자의 말은 최근 부안을 방문한 윤진식 산업자원부 장관이 "주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감안해 현금보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한 게 거의 전부다.

이에 대해 부안과 위도 현지에서는 '원전센터 유치 브로커'들이 만들어 퍼뜨린 것으로 단정한다.

부안군과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들은 "원전센터 건립 공사로 이득을 보게 될 건설회사 임직원 등이 올 봄 위도 등지를 돌아다니며 주민들에게 이 같은 말을 유포했다"고 말한다.

지난 봄 원전센터 부지가 어디로 정해질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할 때 일부 건설사 관계자가 낚시꾼을 가장해 위도 일대를 다니며 주민들에게 수억원 보상설을 흘렸다는 것이다.

당시 유치 브로커들이 "지역 개발 지원금으로 정부가 지원키로 한 3천억원을 주민들에게 나눠주지 않겠느냐. 이 돈을 위도면에 사는 6백여가구에 나눠줄 경우 한집이 5억원 안팎을 받게 된다"는 말을 하고 다녔다는 것이다.

위도 주민들도 당시 "원전센터를 유치하면 주민에게 수억원대의 보상이 이뤄진다는 소문이 섬에 파다했다"고 말한다.

부안군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유치 브로커들이 원전센터 후보지로 발표한 울진.영덕.영광 등 다른 지역에도 현금 보상설을 흘리고 다녔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다만 위도 지역의 경우 섬이라는 특성상 다른 지역보다 정보 교류가 더딘 데다 주민들의 빚이 많아 현금 지원설을 쉽게 믿은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위도 주민들은 선박 등을 구입하면서 가구당 1억~3억원씩의 빚을 지고 있어 거액의 보상금이 주어지면 이를 탕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맞물려 소문이 급속히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위도면사무소 관계자는 "당초에 주민들이 요구한 것도 아닌데, '3억~5억원 보상'얘기가 떠돌더니 이제 와서 '직접 보상은 안된다'고 한다"며 "어떤 식으로든 부풀려진 주민들의 기대를 채워주지 않으면 사업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위도=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