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장 70개 규모 쇼핑몰 스타필드 ‘최악 체증’ 피한 비결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기사 이미지

13일 오후 복합쇼핑몰 ‘스타필드 하남’ 주변 도로. 차량들이 우회로를 이용하고 초기 개장 효과도 떨어지면서 원활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하남=김민욱 기자]

13일 오후 4시30분 국내 최대 규모의 복합쇼핑몰인 ‘스타필드 하남’(경기도 하남시 신장동). 주진입로인 왕복 4차선의 미사대로 760번길과 왕복 6차선 신장동로의 차량흐름은 원활했다. 지난달 9일 본 개장 이후 나타났던 스타필드 주변 도로의 교통체증 현상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쇼핑객이 상대적으로 적은 평일 오후인 점을 감안해도 지체·정체를 반복했던 개장 초기의 평일과는 달랐다.

하남 시·경찰 사전 대책 뒤늦게 먹혀
대중교통 늘리고 도로 신설·확장
우회로 안내, 주변 신호체계 조정
‘초기 개장 효과’ 사라진 것도 한몫

앞서 스타필드 개장 한 달을 맞아 찾았던 지난 8일 오후 2시쯤에도 우려했던 교통체증은 일어나지 않았다. 중부고속도로 하남IC~스타필드간 2.7㎞ 구간은 대체로 원활한 흐름을 보였다. 차량흐름이 많은 주말 오후 3~4시 사이 서울에서 경기도 양평방향으로 향하는 나들이객이 스타필드와 인접한 올림픽·천호대로에서 미사대로로 합류하면서 지·정체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코앞에서 30~40분 가량을 도로 위에서 허비했다’ ‘교통지옥’이라는 방문객들의 경험담은 최근에는 눈에 띄지 않고 있다.

기사 이미지

하남시와 하남경찰서 등에 따르면 스타필드 개장 초기 주변 도로는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정체가 극심했다. 개장 첫날과 주말(9월 9~11일) 하루 2만대가 넘는 차량이 몰려들었다. 한가위 연휴인 지난달 16일에는 가장 많은 2만2828대를 기록했다. 일순간에 고객이 몰리는 개장효과에 연휴까지 겹치면서 대란이 일어났다.

연면적 46만㎡(13만9000평·축구장 70개 크기)를 자랑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복합쇼핑몰에 맞게 최악의 교통상황을 가정해 개장 전 다양한 교통대책을 세웠지만 소용없었다. 앞서 하남시는 개장 이후 평일 하루 2만380대, 휴일 하루 2만7220대의 차량이 유입될 것으로 예측해 교통량을 분산해줄 우회도로를 신설하거나 확장했는데 주차대란을 막지 못했다. 스타필드~강남역간을 오가는 9302번 광역버스 노선을 지난달부터 신설했고, 버스 3개 노선을 스타필드쪽으로 변경하기도 했지만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지난달 19일을 기점으로 교통대란이 조금씩 해소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국내 주요 내비게이션 업체들에 요구했던 스타필드 우회로 안내가 시작된 것이다. 비슷한 시기 개장 효과도 떨어지면서 최악을 대비해 마련한 분산대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자가용 차량의 우회도로 이용과, 쇼핑객의 광역버스 이용 등이 늘면서 차량 흐름이 회복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정식 개장이전 홍보 차원에서 미리 문을 열었던 지난달 5일부터 이달 3일까지 하루 평균 유입 차량은 1만6084대로 집계됐다. 하남시 윤영균 교통행정과장은 “개장 효과가 사라지고 있고 강구했던 도로·교통대책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개장 한 달여 밖에 지나지 않은 만큼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경찰은 주말에 25명의 인력(자원봉사자 8~10명 포함)을 스타필드 주변에만 집중 투입해 교통정리, 불법주정차 단속 등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올릭핌대로에서 미사대교를 통해 팔당방면으로 나들이객이 일순간에 몰리면 진입로 차량 흐름이 막힌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주변 전철은 2018년에나 개통 예정이라 당분간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다. 또 스타필드는 주차요금을 받지 않고 있다.

기사 이미지

스타필드를 계기로 매머드급 복합쇼핑몰이 개장하기 전에 교통대책을 보다 촘촘히 짜야 한다는 지적이다. 신세계그룹은 내년 상반기 경기도 고양시 삼송동 일대에 연면적 37만㎡ 규모의 복합쇼핑몰 개점을 준비 중이다. 롯데그룹 역시 내년 인천터미널부지에 연면적 37만㎡ 규모의 복합쇼핑몰을 건립할 예정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의 유정복 본부장은 “교통량 예측을 보다 세밀하게 해야 하고, 유통업체가 방문객의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