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 사태, 중소업체에 피해 집중

미주중앙

입력

"한국 정부와 한진 측의 조속한 조치를 통해 중소규모 물류업체들을 보호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사태는 미주 한인들의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한인물류업계 피해 집계·전달
보관료 등 최대 수만 달러 손해

한진해운 사태로 야기된 물류 대란으로 적지 않은 피해를 받은 한인 기업들이 피해 사례들을 접수하고 한국정부와 한진 측에 도움을 요청하고 나섰다.

미주한인물류협회 이중렬 회장(제임스월드와이드 대표)은 "실제 파악한 사례들을 보면 그 피해가 상당히 광범위하고 중소업체들에 집중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한시라도 빨리 문제점들이 해결되도록 기관과 단체들이 힘을 모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협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서부와 동부에 소재한 30여 개 기업의 사례가 접수됐다. 가장 큰 문제는 터미널 내 빈 컨테이너가 포화 상태인데다 섀시 부족으로 화물이 항만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다 보니 물류업체들이 스스로 야적지를 찾아야 하는 것은 물론 보관료를 울며 겨자먹기로 떠안아야 하는 등 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게다가 운송사 및 철도회사들이 중부와 동부로 이동해야 하는 컨테이너들에 대한 운행을 거부하고 있어 운송 경로를 변경하거나 대체 수단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추가 비용을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장은 "이 과정에서 주요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수천 달러에서 수만 달러까지 추가비용을 물류업체들이 감수하고 있어 중소규모 회사들은 자금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특히 뉴욕 등 동부 입항 화물들(한진 마이애미, 브레머해븐)은 지난달 31일 이후 아직까지도 선박 접안이 안 된 상태로, 화물 현황 파악 자체가 불가능해 업계가 속을 태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역시 이런 피해들은 줄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한국정부가 이런 세부적인 피해 상황을 접수해 일을 추진해야 하지만 사실상 그 대책이 미흡한데다 한진 직원들도 회사의 미래에 대한 우려로 일손을 거의 놓고 있는 상태라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빈 컨테이너 쌓아 둘 곳이 없어요"

롱비치 항만의 '물류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있는 한진의 빈 컨테이너(현재 6000~7000여 개) 처리가 심각한 문제로 부각됐지만 실제 야적지나 항만 내 공간을 마련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진해운의 자회사로 롱비치항에 독립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토털터미널인터내셔널(TTI)의 김규경 대표는 "빈 컨테이너를 치워놓을 만한 공간 마련을 위해 항만측에 관련 서류를 제출하고 기다리는 중"이라고 21일 밝혔지만 항만 측은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컨테이너 보관을 위한 공간 마련은 시정부의 특정 공간을 비상시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어서 시의회를 거치는 것은 물론 향후 영향 평가까지 끝내야 하는 사안으로 약 2~3개월이 소요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인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