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러 정상 "북핵 용인 안 해, 전략적 소통 강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러시아를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3일 오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김성룡 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며, 핵과 미사일 위협을 해소하기 위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 대통령 "지금이 북한 변화 이끌어낼 마지막 기회"… 푸틴 "북, 도발·긴장 고조하지 말아야"

박 대통령은 “한·러 양국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선 이 지역의 가장 큰 안보 위협인 북핵과 미사일 문제를 시급히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북한 문제 해결에 있어 푸틴 대통령과의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EEF) 전체 세션에 참석한 뒤 정상회담을 했다.

박 대통령은 회담 후 푸틴 대통령과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추가 핵실험 위협과 함께 핵 선제공격까지 공언하고 있는 상황에서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탄도미사일 위협은 불과 수분의 사정거리 내에 있는 우리에겐 삶과 죽음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책임 있는 정부라면 국가 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해 나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가 자위적 조치임을 우회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또 “국제사회가 과거와 다른 시급성과 강력한 결의로 북핵과 미사일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경우 동북아뿐 아니라 전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이 크게 위협받게 될 것”이라며 “역대 가장 강력한 대북제재 조치를 담은 안보리 결의가 이행되는 지금이야말로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도 회견에서 “우리 두 나라는 자칭 평양의 핵 보유 지위를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는 한반도 핵 문제가 동북아에서의 전반적인 군사·정치 (긴장) 완화 틀 내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본다”며 “군사 대립의 수준을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은 또 “역내 모든 국가 간에 신뢰성의 기초를 마련해야 하고, 아무런 도발이나 긴장 고조를 하지 말아야 한다”며 “우리의 노력을 통일시켜야 안정과 번영을 위해 역내 국가들이 접근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진행된 EEF 전체 세션에서도 박 대통령은 “북한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올해 벽두부터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고,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정면으로 거부하면서 스스로를 ‘동방의 핵대국’이라고 부르며 핵 선제공격을 위협하고 핵과 미사일 능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가 시급성을 갖고 북한의 핵 개발을 막지 못한다면 머지않아 북한의 핵 위협은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포기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려면 북한에 단호하고 일치된 메시지를 보내는 게 중요하다”며 “우리 정부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과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국제사회와 함께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도 전체 세션에서 “(동북아) 지역에서 향후 수십 년간 군사적 분쟁이 있어선 안 된다. 박 대통령 말대로 우리도 (북핵을) 우려한다”며 “북한은 국제사회가 채택한 결의안을 받아들여야 하고, 유엔 안보리의 결정을 존중하고 도발적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과 다양한 채널이 있으니 활용해서 첨예한 국면을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정상은 회견에서 사드 문제를 공식 언급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양 정상은 사드를 포함해 한반도와 동북아의 전략적 안정 문제와 관련해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건설적인 의견을 교환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러시아와 교역·투자 분야 등에서 양해각서(MOU) 24건을 체결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총 3억9500만 달러(약 4412억원) 규모의 극동 지역 프로젝트에 우리 기업이 참여할 바탕이 마련됐다고 청와대는 소개했다.

블라디보스토크=김정하 기자
wormhole@joongang.co.kr

오피니언리더의 일요신문 중앙SUNDAY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