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위안부 소녀상과 아베의 착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남정호
남정호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기사 이미지

남정호
논설위원

누군가에게 어떤 일을 하지 말라고 압박했다 치자. 선택의 자유를 빼앗겼다고 느낄 경우 상대방은 치미는 부아로 그 일을 더 하려 한다. 미국 심리학자 잭 브렘이 설파한 ‘부메랑 효과’다.

요즘 위안부 소녀상 문제를 대하는 일본 아베 정권의 정책이 딱 그 꼴이다. 아베 총리 측근들은 한국 정부를 향해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옮겨야 한다고 연일 공세다. 그뿐 아니라 지난 1월에는 아베의 최측근 보좌관이 워싱턴에 가서 “미국 내 소녀상이 확산되는 것을 막아 달라”고 주문했다고 한다.

아베 정권은 한·미 정부를 움직이면 소녀상을 옮기거나 설치되는 걸 막을 수 있을 거라 믿는 모양이다. 착각 중 착각이다. 국내 기념물들은 하나같이 민간 주도로 세워진 것이다. 국민 정서상 정부로서는 협조를 읍소하는 것 외에 손쓸 방법이 없다.

미국의 경우 글렌데일시에 들어선 소녀상을 철거해 달라는 소송이 지난 4일 캘리포니아 연방항소법원에서 또다시 기각됐다. 게다가 재판부는 글렌데일시가 낸 전략적 봉쇄소송 금지 신청까지 받아들였다. 전략적 봉쇄소송이란 사회적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 또는 단체의 손을 묶어두기 위해 일부러 거는 재판을 뜻한다. 결국 대법원에서 판결이 뒤집히지 않는 한 미국 내 소녀상 건립에 법적 시비를 걸 수 없게 된 셈이다.

이런 터라 아베 정권이 막으면 막을수록 역효과가 나 소녀상 건립은 더욱 빠르게 확산될 수밖에 없다. 지난 6일 호주 시드니에서 해외에서는 세 번째인 소녀상이 세워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또 이달 중 국내 9곳에서 새로운 소녀상이 모습을 드러내며 20여 곳에서 설립이 추진 중이라고 한다.

20세기의 양대 반인륜 범죄가 유대인 및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이다. 나치에 의해 살해된 유대인 700만 명을 기리는 기념관·기림비 등은 20개국 65개소, 20세기 초 200만 명이 오스만제국에 희생된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관련 시설은 15개국 33개소에 이른다. 대부분이 해외 교민 힘으로 건립된 것들이다. 700만 한국 교민의 저력도 결코 이 못지않다.

아베 정권이 소녀상 확산을 원치 않으면 방법은 딱 한 가지다. “그만하면 됐다”는 소리가 나올 때까지 사과하고 또 사과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3개에 불과한 해외의 소녀상이 삽시간에 수십 개로 늘어 일본의 얼굴에 먹칠을 할 것이다. 오늘 서울에서 한·일 외교 당국 국장급 회의가 열린다. 이 자리에서 이런 공감대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남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