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승부조작·불법도박 등 근절 대책 마련

중앙일보

입력

 
프로야구가 최근 승부조작과 불법도박 등으로 홍역을 앓고 있는 가운데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KBO는 21일 긴급 실행위원회를 열고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KBO 리그 선수의 부정행위 및 품위손상행위 재발 방지를 위한 일환으로 3주간의 자진 신고 기간에 들어가는 등 5개 방안을 내놨다"고 밝혔다. KBO가 이날 발표한 5개 방안은 3주간의 자진 신고 기간 설정 및 부정행위 관련자에 대한 자수 유도, 기존 공정센터를 확대한 KBO 클린베이스볼센터 신설, 2012년부터 올해까지 열린 전 경기를 대상으로 한 배팅패턴 모니터링, 에이전트제도 조기도입 논의, 부정방지 및 윤리교육 대폭강화 및 교육이수인증제 도입 등이다.

KBO는 이번 기회에 부정행위 관련자들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 다음달 12일까지 선수단과 구단 임직원을 비롯한 전체 프로야구 관계자들로부터 자진 신고 및 제보 기간을 갖는다. 해당기간 동안 자진 신고한 당사자에 대해서는 영구실격하지 않고, 사안에 따라 2~3년간 관찰기간을 두고 추후 복귀 등의 방식으로 제재를 줄여줄 계획이다. 또 제보자에게는 최대 1억원의 포상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기존의 KBO 공정센터를 확대한 KBO 클린베이스볼센터를 신설했다. 클린베이스볼센터에서는 암행감찰관과 조사위원회를 운영하며, 각종 교육과 경기모니터링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현재 실시하고 있는 경기모니터링도 대폭 강화된다. KBO는 2012년부터 전 경기의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회 선두타자가 볼넷으로 출루한 경기, 4회까지 양팀합계 6점 이상 경기 등의 영상을 모니터링 한다. 이상 징후가 포착될 경우 조사에 들어가며, 필요 시에는 수사도 의뢰할 예정이다. 내년부터 도입 예정인 리플레이센터를 활용해 전 경기 파일을 구축하고, 경기장에 파견되는 경기운영위원은 당일경기 시작 전까지 전날 경기를 모니터링한다.

KBO는 선수 관리를 위해 현재 선수협회와 협의중인 에이전트 제도가 조기에 도입될 수 있도록 논의하기로 했다. 부정방지나 윤리교육도 강화한다. 현재 연간 2회인 교육을 총 4회로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이수인증제도 도입을 통해 미 이수자에 대해서는 경기출전을 금지시키고, 정부 당국과 연계해 전담강사 파견 및 맞춤 교육프로그램도 개발할 예정이다.

KBO는 "프로 입단 이전인 아마추어 시절의 인격 형성 시기에 교육 대책이 시급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리틀야구연맹 등과의 연계를 통해 아마추어 선수 대상 윤리교육도 확대 실시할 계획"이라며 "승부조작이나 도박 등 부정행위 처벌규정 및 신고자 포상제도 고지문을 덕아웃 및 라커룸에 게시하고, 선수단 윤리강령을 제정해 금품 및 향응수수, 인종차별, 가정폭력, 성폭력, 음주운전 등에 대한 심각성을 선수들이 인식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원 기자 kim.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