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총연합 사이비교단 피해 인터넷 접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한국 기독교가 이단.사이비 문제로 속병을 앓다 급기야 인터넷을 통해 피해 사례를 접수하기 시작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이하 한기총.대표회장 길자연 목사)는 지난 11일부터 홈페이지(www.cck.or.kr)에 별도 코너를 마련하고 사이비 교단에 대한 대책.상담 활동에 나섰다.

한기총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최상경 목사는 "1992년 다미선교회 사건 이후 사이비 문제가 가장 심각한 상황"이라며 "전국 곳곳에서 피해를 호소하는 상담이 줄을 잇고 있다"고 말했다.

기독교의 이단.사이비는 교리적 문제다. 한기총은 "세상 사람은 모두 죄인이며, 죄인은 예수를 통해 구원받는다"는 교리 대신 특정 개인을 신격화하거나, 종말론을 극단화하거나, 한번 구원받은 사람은 회개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경우 등을 이단.사이비로 규정했다. (자발적) 재산 헌납 강요, 가정 파탄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최목사는 최근 사이비 종교가 극성을 부리는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꼽았다. 첫째, 사회 전체의 불안이다. 정치 혼란, 경제 침체 등으로 마음이 약해진 사람들이 손쉽게 구세주(메시아)에 기대려고 한다는 것. 둘째, 교회 내부 문제다. 교회 자체의 약점이 많을 때, 즉 교회가 신자에게 충족감을 주지 못할 때 이단의 세력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까지 주로 전화로 상담했으나 사이비 교단이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전파되고, 또 예전과 다르게 한기총에 명예훼손.손해배상 등 소송을 거는가 하면, 집단행동도 벌이기 때문에 조직적 대응 차원에서 인터넷을 활용하게 됐다고 말했다. 상담자 신변은 비밀로 보장된다.

박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